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철민 전문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주식 차트를 잘 보는 방법은 계속 해보는 방법 밖에 없나요?
차트는 아무래도 어느정도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전도 실전이지만 차트의 유형과 특성을 공부해서 그걸 실전에 적용하는게 중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주식은 개미들의 선택과 왜 늘 반대로 갈까요?!
주식 투자자 중에 외국인과 기관은 소수의 플레이어가 큰 금액을 가지고 투자를 하기 때문에 종목의 가격 방향성을 정하기 쉽습니다. 이에 비해 개인은 기관이나 외국인과 반대로 투자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피해를 봅니다
경제정책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장기화와 국제 경제 및 안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에 장기화 전 세계 공급망해 큰 변화가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전 세계에서 곡물을 많이 생산하고 또한 천연자원 에너지 등 많이 생산하는 국가라서 이 분야에서 안 좋은 영향이 있었습니다
경제동향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대만해협에서의 중국의 대만 압박과 국제사회의 대응은 무엇인가요?
이전에는 미국이 대만을 어느 정도 지켜주려는 스탠스를 취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게 이득이 되지 않으면 외부 개입을 최대한 자제하는 스타일이라 잘못하다가는 트럼프 임기 중에 중국과 대만의 전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자산관리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개인연금은 언제부터 수령이 가능한가요?
개인연금은 어떤 상품에 가입했냐에 따라 다릅니다. 개인연금도 어떤 조건으로 가입했냐가 중요한데 보통 55세 이후부터 가능합니다.
경제용어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GDP와 GNP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지디피와 지앤피의 가장 큰 차이는 지디피는 국가의 개념이 큽니다. 그 국가의 영토내에서 발생한 부가가치의 합을 말하고지앤피는 국민의 기준이 커서 그나라 국민이 만든 부가가치의 합을 말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주식은 무조건 오르는게 좋은가요??
투자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단타라면 무조건 오르는게 좋죠하지만 중장기 투자라면 너무 올라서 하락 리스크도 크면 문제가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도지코인이 하락하는데, 이유는 무엇인가요?
지금 전체적으로 떨어지는 것 같은데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라는 말처럼 실제 이벤트 발생 후에는 떨어지는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을하였습니다.
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가격이 하락한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실제 정책이 나오면 오를수도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etf의 총보수는 어떻게 반영되는 건가요?
매도할때 세금처럼 차감되거나 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평상시에 가격에 약간 반영됩니다. 예를들어 실제 지수가 100%올랐고, etf수수료가 1%라면etf가격이 99%만 오르는 식으로 반영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