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한선옥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과학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그것이 궁급힙니다 과학에 예산을 편성하려면 학교 교과과정 부터 개편하고 수업시수를 늘이고 과학교사를 늘이는 것 부터 해야 하지 않을 까요?과학에 투자하려면 인공위성 천문과학 과학관련된 대학등 여러가지로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선거공약을 잘 읽어보고 앞으로 방향을 잘 지켜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라면이 불으면 칼로리나 영양소에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라면이 불으면 일단 맛이 없어 집니다그러므로 먹어도 입맛이 없어 직접적으료 영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좀 적겠지만 적당히 맛있고 좋게 된 상태에서 최적의 상태로 우리몸에 영양이 공급되어 져야 할것같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몸이뜨거우면 지방이 잘탄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지방이 타려면 유산소 운동을 하든지 우리몸에서 에너지로 사용되어야 됩니다날씨가 더우면 우리몸에서 기초대사량이 증가합니다오른체온을 내리려는 체온의정상화를 하려는 것이지요이럴때 지방이 연소가 안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특별히 온도가 올라서 지방이 더많이 연소가 되는 것은 아닌것 같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알루미늄호일에 고구마를 싸서 굽는것,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밥하는 냄비도 알루미늄이 많이 있습니다음식 조리시 알루미늄을 많이 사용합니다걱정이 된다면 안 쓰는것이 맞는것 같습니다하지만 많은사람들이 호일을 요리에 이용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는 둥글다 vs 지구는 네모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둥글다는 증거는 많이 있습니다월식때 달에 생기는 지구의 그림자가 둥근것바다에 멀리서 들어오는 배가 돛부터 보이는것배를 타고 세게 일주를 하면 원래 출발한 곳으로 돌아오는점지구밖으로 비행기를타고나가서 지구 사진을 찍어서 보면 지구는 둥글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그림자로 방향을 아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정오에 해는 반드시 남쪽하늘에 있고 그림자는 북쪽으로 생깁니다 그림자의 끝이 정오에 북쪽입니다막대의 길이는 상관이 없습니다해를 보고 방향을 정하는 것이 더 빠를것 같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특정한 장소에서 저에게만 정전기가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건조한 곳에서 잘 생김니다친구들보다 땀이 덜나던지 건조한 상태로 되어 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여름보다 겨울이 건조해서 정전기가잘 일어납니다옷안에 금속옷핀을 꽂고 다니시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먹구름은 습기가 많아서 검은색인가요? 아니면 구름이 두꺼워서 검은색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먹구름이 생기는 현상을 알기 위해서는 물방울이 모인 구름의 생성원리를 먼저 아셔야 하는데요. 물방울들이 모인 구름은 마치 솜사탕 같이 폭신할 것만 같은 느낌인데 비구름으로 돌변하는 순간 상당히 무서워지죠.이런 큰 구름이 생기기 위해서는 대량의 물의 증발현상이 있어야 합니다. 강이나 호수, 바다에서 만들어진 물은 태양의 강한 열 에너지에 의해 증발되는데요. 물이 증발하고 공기 중으로 상승되면 물의 부피가 상승하게 됩니다. 상층부에 올라간 수증기는 응결되어 구름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다 구름이 크기가 점점 커지게 되고 환경에 따라 여러 형태의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http://www.finelfc.com/252 에서 인용했어요 미세한 공기 분자는 파장이 긴 붉은 색 파장보다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푸른색 파장을 산란시키기 쉽기 때문에 우리의 눈에는 하늘이 푸른빛으로 보입니다. 구름은 각각 다른 크기의 물방울이 모여 산란되기 때문에 반드시 하얗게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얇은 구름의 경우에는 모든 파장의 빛이 반사되어 흰색으로 보이고 물방울의 밀도가 높아져 비가 내릴 정도의 구름이 두꺼워지면 통과되는 빛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 아랫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게 되어 어둡게 보이게 되는데요. 이 때의 구름이 바로 먹구름입니다. 구름 물방울의 크기가 점점 더 커지게 되면 비가 내리가 되는 것이죠.이렇게 설명드리면 많은 분들이 두꺼운 뭉게 구름은 왜 하얗게 보이나요? 하고 궁금해 하실텐데요. 뭉게 구름은 구름 밑부분이 편평하고 맑은 날 지면에 열이 공기를 상승시키면서 만들어지는 구름입니다. 구름은 두껍지만 거의 작은 물방울로 연직으로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구름 속을 지나온 빛을 통해 보는 것이 아니라 구름 편평한 표면에서 산란된 부분을 우리 눈으로 보게 됩니다. 따라서 대부분 하얗게 보이는데요. 태양의 위치에 따라 까맣게 보일 수도 있고 하얗게 보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강풍때문에 구름 한 점 없이, 미세먼지 없이 파란 하늘이 보이는데 미세먼지없이 파란 하늘의 흰구름을 볼 수 있는 날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다음번에 이어질 화통이의 과학이야기도 기대해주세요^^ 출처: https://www.finelfc.com/480 [롯데정밀화학 공식 블로그_it's Fine]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빛은 과연 입자일까?파동일까?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입자이면서 파동입니다빨주노초파남부의 7가지 색깔의 무지게는 파장의 길이가 달라 빛이 분산된것입니다빛이 금속에 부딪히면 전자가 튀어나옴니다 이것을 광전효과하고 하는데 빛이 파동이라면 광전효과를 설명할수 없습니다빛은 입자이면서 파동이라는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을 연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는 원리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일식은 태양달 지구의 순서로 있을때 달이 태양을 가려 일어납니다전부다 가리면 개기일식 일부분만 가리면 부분일석입니다월식은 태양 지구 달의 순서로 있을때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것으로 개기월식은 달을 전부 가리고 부분월식은 일부분만 까립니다월식은 달이보이는 곳이면 지구의 어디서나 달의월식을 볼수 있어요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