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한선옥 전문가
화학
화학 이미지
Q.  얼음이되면 왜 부피가 증가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고체는 액체보다 부피가 작습니다그런데 얼음은 고체의 부피가 물보다 큽니다얼음이 되면 얼음분자의 수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고 얼음분자의 특별한 구조 때문입니다 얼음은 특별한 6각형의 분자구조를 가져서 견고한 수소결합(얼음속의 수소)결합을 하여 단단하며 부피가 늘어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아세톤은 탄소가 3개인데 왜 아세톤이죠?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Acetone. IUPAC 명칭은 '''프로판온'''. 다이메틸케톤이라고도 부르며 "아세톤"이라는 명칭은 분자 구조상 아세틸기(CH3CO)를 포함하기 때문에 붙여졌습니ㅇ다IUPAC 명칭은 국제명칭이며 정식명칭입니다 분자구조에 아세틸기(CH3CO)를 가지고 있어서 아세톤이라고 붙여졌어요한개의 물질이 여러개의 이름을 가집니다유기화합물을 여러가지 기를 가지고 있습니다(알데히드기 아세틸기 케토기등) 고등학교 유기화학시간에 이 유기화합물의 기를 배웁니다독특한 냄새가 나지만 무색이며 상온에서 액체. 물과 잘 섞입니다아세톤은 탄소가 3개 입니다휘발성과 인화성이 강한데, 영하 20도 이상에서는 휘발하고, 이것이 공기와 섞이면 인화 혹은 폭발할 수 있다. 자극성이 강하기 때문에 실험용이 아닌 이상 희석해서 취급합니다아세톤은 메니큐어를 지우는 약품으로 가정의 화장대위에 있지만 휘발성이 강하고 이휘발한 기체에 불이 붙을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인화성 기체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안심 플라스틱 용기, 정말 전자렌지에 돌려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안심플라스틱이라고 비싼가격으로 팔고 있는제품을 저도 사용하고 있어요괜찬다고 팔고 있으니 써도 괜찬을 것 같습니다만약 나쁘다고 판명되었다면 국가에서 인가를 내주지 않았을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AI가 인간대신 과학연구를 한다면 세계에 어떤 변화가 올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AI 를 만든것은 사람입니다아무리 AI 가 똑똑하다고 하나 사람만 못합니다AI때문에 영생하기 어렵고 AI 로 인한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은 늘어 날 것입니다사람은 태어나면 죽는것이 당연한것인데노인들이 죽지 않고 모두 살아있다면 어떻게 될까요?이것도 무서운 세상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지하철이나 버스 타게되면 잠이오는 이유가 뭐죠?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졸리지 않다가도 차나 대중교통에 타 앉기만 하면 졸음이 쏟아질 때가 많다. 왜 그런 걸까?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진동과 이산화탄소다. 지하철을 타면 우리는 진동을 느낀다. 일본철도기술연구소에 따르면 지하철의 진동수는 2Hz 정도다. 1초에 두 번 진동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2Hz로 흔들리는 환경은 사람이 잠들기 가장 쉬운 조건에 속한다. 버스나 승용차의 경우도 비슷하다. 정확한 진동수는 차이가 있지만, 차나 버스에도 일정한 진동이 가해져 졸리기 쉽다. 아이를 재울 때 엄마가 안아서 천천히 흔들어주거나 흔들의자와 유사한 아기용 침대에 눕히는 것과 같은 원리다. 적당한 소음도 잠과 관련 있다. 교통수단을 이용하면 여러 소음에 노출되는데, 이는 처리해야 할 중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뇌는 소음을 분석하기보다 무시하려고 한다. 이때 뇌가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 감각을 무시하면서 잠이 오게 되는 것이다.이산화탄소도 졸음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지하철, 버스, 승용차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는 이산화탄소가 많다. 특히 대중교통은 한정된 공간을 많은 사람이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다. 보통 이산화탄소 농도가 2000ppm만 넘어도 졸음이 올 수 있고, 5000ppm에 달하면 산소결핍증이 발생한다. 그런데 대중교통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에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높아진다. 실제 한 실험에 따르면 주행 중인 고속버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실내 환경 권고기준치인 1000ppm을 넘어 약 5000ppm까지 빠르게 상승했다. 공간이 좁은 승용차도 비슷했다. 이산화탄소가 늘면 뇌로 가는 산소량이 줄어들어 나른하고 졸리게 되며, 두통이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졸음운전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운전 중에는 창문을 열어 틈틈이 환기해주는 것이 중요하다.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9/2019050901801.htm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마트에서 사온 달걀, 온도만 적정하다면 부화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부화하려면 반드시 유정란이어야 하는데 마트에서 사온계란이 유정란이 아니면 부화할 확률은 없읍니다유정란인경우 부화기에 넣으면 21일후에 병아리가 생겨요부화기는 약 35도 이상의 열을 닭의 어미의 품속과 같은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상온에 물을 오랜 시간 두면 생기는 기포? 물방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물속에 녹아 있던기체들이 방울로 보입니다주로 이산화탄소기체 질소 산소등입니다오래 되었으면 마시지 않는것이 좋습니다산소 이산화탄소 질소등의 기체는 인체에는 해가 없습니다사이다는 이산화 탄소를 녹인 것이고요 과자포장지에 질소를 넣어 오래 보관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암주상절리의 생성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주상절리는 뜨거운 용암이나 갓 퇴적된 뜨거운 화산재 등이 급격하게 식으면서 만들어지는 균열이다. 퇴적된 화산재가 무척 뜨거워서 그 퇴적층에 주상절리가 발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두터운 용암류가 식으면서 만들어진다. 지질학적으로 절리라는 것은 암석이 완전히 식은 뒤 지표로 올라오면서 부피 팽창, 즉 풍화의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2차적인 구조임을 고려할 때, 주상절리는 절리 중에서도 그 형성 과정이 특이한 편에 속한다.뜨겁게 흐르거나 쌓인 화산암(쉽게 용암이라 하자)이 주변의 차가운 환경(공기)와 만나게 되면 표면부터 식게 된다. 그런데 이 용암이 내부에서 딱히 많이 흐르고 있는 게 아니라서 단순히 껍질만을 만들고 끝나는게 아니라면, 식으면서 만들어지는 균열이 하부 층으로 전파된다. 아래로 전파된 균열은 하부층의 열기가 빠져나가는 걸 돕고, 그렇게 되면 또 수축이 일어나면서 한층 더 아래로 전파한다. 전파가 단계적이므로, 아주 이상적인 주상절리는 끌 무늬(chisel mark)라고 표현하는, 일련의 수평면에 대한 계단 형식의 표면이 발달한다. 물론 물리적 조건에 따라 끌 무늬가 아닌 물결 무늬가 나타나기도 하고, 아예 깨끗하게 정의되는 평면이 발달하기도 한다.이러한 절리면이 서로 교차하면서 다각형의 기둥 모양이 구축된다. 육각형이 대부분인 이유는 구조상 응력이 강해지기 때문. 이런 구조를 허니 페이퍼 또는 허니콤이라고 하며, 이름을 보듯 벌집과 같은 구조이다.이 균열의 발달 원리를 잘 생각해보면, 두꺼운 용암류에서는 공기와 접촉하는 상부 말고도 지면과 접촉하는 하부에서도 주상절리가 발달할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 잘 발달한 현무암질 용암류의 절리 구조는 상층과 하부에 각각 주상절리층이 분포한다.또한 균열이 차가워진 암석의 수축이 일어나면서 전파되는 형식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균열의 발달 방향이 등온도선에 수직으로 발달할 것이라는 점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주상절리는 중력에 대한 방향은 별로 의미가 없으며, 용암이 식을 당시 등온도면이 어떻게 분포했느냐가 중요하다. 예컨대 용암이 특정한 계곡 모양의 채널을 따라 이동했다면, 그 채널의 벽면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발달한 주상절리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균열이 특히 강하게 발달하여 그곳으로 열기가 잘 빠져나가면, 균열의 끝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발달하는 주상절리도 볼 수 있다.https://namu.wiki/w/주상절리 에서 인용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이산화탄소는 온실효과를 일으킵니다열이 전달되어 지구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품고 있는것입니다이산화탄소가 적으면 열을 잘 품지 못하겠지요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만드는 탄소 동화작용을 합니다숲속에 들어가서 맑은 산소를 마시세요금성의 대기는 이산화 탄소를 가지고 있습니다그래서 온실효과 때문에 아주 밝게 보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눈 내리는 날은 평소보다 더 조용한건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의 진동이 우리의 귀에 전해저서 소리를 느낍니다소리가 전달될때 공기가 매채인것이지요눈이오면 아무래도 공기의 진동을 느리게 하거나 방해할수 있어요그래서 눈이 온날은 조용하고요 차들도 잘 못다녀요 미끄러 질까봐요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