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전문가입니다.

한선옥 전문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이따라오는거같은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달과 지구의 거리가 워낙 멀어서 달에서 보았을때 내가 지구에서 움직인 거리는 거의 0 에 가깝습니다그래서 내가 걸어가도달이 따라오는 것 같습니다달과 지구의 거리가 멀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모양은 왜 계속 바뀌는걸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의 위상변화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데 지구의 그림자가 태양빛에 의해 생겨 달에 그림자를 나타냅니다달이 자구의공전주기가 한달이라 한달에 한번씩 모양이 바뀝니다달의 위상변화라고 인터넷에 치면 더욱 자세히 알려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외계인이 더 발전됐다고 생각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확실히 외계인이 있는지가 더 문제 일것 같습니다 영화는 가상현실이라 접근이 좀 다른것 같아요외계인과 지구인을 비교한 데이터가 어디 있을까요?기준은 무엇인지 그것도 확실지 않고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컵에 차가운 액체를 넣으면 왜 물방울이 맺히나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컵 주변에 공기에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수증기는 온도가 높을 수록 많은양의 수증기를 포함합니다수증기는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방안에 빨래를 널었는데 마르고 나면 수증기가 방안에 뿌옇게 안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컵주변의 온도가 낮아지면 컵주변의 공기속의 수증기는 더이상 기체상태로 있지못하고 액체로 되어 컵표면에 뿌옇게 액체로 변해 있는것입니다겨울에 안경을 끼고 차를 타면 차안에서 안경이 뿌옇게 되는 원리와 같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헬리콥터가 수직 이륙 가능한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헬리콥터 위의 프로펠러는 비행기의 위에셔 회전하면서 기체의 압력을 줄입니다비행기 아래의기압은 1기압이지만 위의 압력은 1보다 작아 아래에서 위로 미는힘이 생겨 위로 뜨게 됩니다압력과 기체의법칙 베르누이의 정리를 찾아보세요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무거운 배가 물에 뜨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배가 물에 뜨는이유는 부력때문입니다배가 물에 약간 잠겼을떼 잠진 물의 부피만큼의 물의 무게 만큼 가벼워집니다공기도 부력이 있습니다낙하산도 부력때문에 천천히 떨어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계 행성에서 명왕성이 퇴출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은 크기가 달만하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달의 2/3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하네요다른행성들은 거의 원에 가까이 태양의 주위를 도는 데 명왕성은 아주 길쭉한 타원궤도로 공전을 한답니다가끔은 해왕성의 안쪽으로 들어가기도 한데요행성이란 태양주위를 돌면서 충분히 큰질량을 가져서 자체중력 떼문에 둥글며 자신의 궤도영역에서 주변의 다른 천체를 물리친 행성으로 정의했어요이러한 이유에서 명왕성은 지구의 행성이 아닌것으로 분류했어요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간척사업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에 많은 섬이 산재되어 있고 해안을 매립하여 육지화함으로 농토나 기타 산업부지를 형성하는 사업을 말하는이러한 간척사업으로 인해 서해안과 남해안의섬들의 해안선이 일직선화 되어 있어서 경제적 효용가치는 크다고 볼수 있겠지만 자연 생태게의 파괴와 어님의 생존권등의 문제가 뒤따른다그래서 개발과 보전사이에 많은 갈등이 야기되고 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인공강우, 강설을 만드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 하는 일을 말한다. 기상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것 자체로 상징성이 있는 일이며 비가 안 내리는 곳에 비를 내리게 함으로 농업 등에 이익을 줄 수 있다흔히 구름 씨앗(Cloudseed), 즉 빙결핵이 될 만한 화학물질을 대기 중에 살포하여 수증기를 응축시켜서 내리게 하는 방법이 자주 쓰인다. 1946년 미국에서 첫 인공강우가 성공한 이래 과학 선진국들은 앞다투어 가뭄을 해결할 목적으로 인공강우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현재 한국 주변의 강대국들은 대부분 최첨단 인공강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이 굉장히 적극적으로 인공강우를 시도하고 있는것으로 유명하다. 대륙의 기상을 제대로 발휘해서 가뭄이 들거나 스모그, 황사로 심한 고생하고 있는 지역이나 사막화가 심한 지역에다가 엄청나게 뿌려대며, 미세먼지가 심할 때에도 인공강우를 시도해서 비를 내리게 한다.A도시에 인공강우 실험을 했다고 할 때, 원래 A도시 상공에는 비가 내릴 가능성은 적지만, 충분한 양의 구름이 있는 경우에 인공 강우를 시도한다. 특히 현재의 인공 강우 기술력은 비가 내릴 가능성이 아예 없는 곳에서 비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아니라 비가 올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강우량을 늘리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화학물질을 통해서 억지로 비가 내리게 만들었기 때문에 인근의 다른 지역 대기에는 수분이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왜냐면 지구의 수분은 일정하다. 화학물질 좀 뿌린다고 없던 게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한마디로 다른 지역에 내릴 비를 끌어다 쓰는 셈이다참고:인공강우 - 나무위키 (namu.wiki)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자렌지 의 윈리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혹시 고등학교때 물의 구조식 배우셨어요?물은 분자구조가 굽은형으로 비공유 전자쌍을 가지고 있어요이비공유 전자쌍에 전자파(마이크로웨이브)를 쏘이면 전자쌍이 대칭이 되지 못해 회전을 합니다그래서 회전할때 열이 발생해요물이 없으면 전자렌지는 물이 없으면 덮혀지지 않아요계란이 폭발한것은 전자렌지 탓이 아니고계란속에 액체가 기체로 되면서 부피가 팽창하여 껍질을 터진겁니다밤을 렌지에 넣고 돌려도 폭발합니다반드시 흠집을 칼로 내고 돌리면 밤이 잘 익어요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