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최초로 정한론이 일본에 나타난 시점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한론은 고대 일본의 신공왕후(神功王后)가 삼한(三韓)을 정복했다는 전설에 기초한 것으로, 19세기 후반 메이지 정부의 체계를 확립했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스승인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1830~1859)의 대외 침략 사상이 정한론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에도 본인의 이름을 개명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유사’의 저자 일연(一然)은 시를 잘 짓는 승려로 일찍이 명성이 높았다. 그가 사대부들과 교유할 때는 견명(見明)으로 통했으니 일연의 본명은 견명이었다. 일연이란 이름은 만년에 사용한 것이었는데 사후에는 일연으로만 불리게 되었다. 일연처럼 장성한 뒤에 개명하는 예가 고려시대에는 비일비재하였다. 유명한 문인 가운데 개명한 이를 보면, ‘파한집’의 저자 이인로(李仁老)는 본명이 득옥(得玉)이었고, 이규보(李奎報)는 본명이 인저(仁底), 김지대(金之岱)는 본명이 중룡(仲龍), ‘보한집’의 저자 최자(崔滋)는 본명이 종유(宗裕) 또는 안(安)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장년 이후에도 마음대로 이름을 바꿀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개명하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호적에 오른 이름을 바꾸려면 재판을 거쳐야 하는 현재의 법과는 그 문화가 아주 다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로마에는 스키피오,프랑스에는 나폴레옹,고구려에는 양만춘,그렇다면 중국 최강의 장군은 누구라 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최강의 장수는 항우(項羽)입니다. 항우를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힘은 산을 뽑고 기개는 세상을 덮는다)라 표현할 정도이니 말입니다. 후에 나타난 무장들이 ‘제2의 항우’라는 칭호를 얻는 게 영광으로 여길 정도로 최고의 무장이자 명장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츄픽츄를 왜 만들었을까요? 너무 높은 곳에 있는 데 정말 사람이 살았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추칙추는 잉카인들이 스페인 인들의 공격을 피해 산 속 깊숙이 세운 것이라고도 하고, 군사를 훈련해서 후일 스페인에 복수하기 위해 건설한 비밀도시라고도 합니다. 또한 자연재해, 특히 홍수를 피해 고지대에 만든 피난용 도시라고도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술을 마실 수 있는 나이제한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 술에 대한 나이제한은 특별히 없었다고 합니다. 조선의 이문건이란 양반이 손자를 기르면서 쓴 육아일기인 을 살펴보면, 이문건의 손자는 14살의 나이에 엄청 술을 좋아해서 자주 술에 취했고, 이때문에 할아버지가 속을 썩고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안녕하세요 ㆍ카톨릭과 기독교의 차이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ᆞ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독교는 현재 크게 세 종파로 나뉘어져 있는데 천주교(로마가톨릭 또는 그냥 가톨릭이라고 표현 ), 개신교( 프로테스탄트, 흔히 기독교라고 잘못 지칭)와 우리나라엔 거의 없는 정교회(올소독스)입니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종교를 뜻하는 말로 크리스트교(그리스도교)를 한자식으로 음차한 표현입니다. 개신교와 천주교의 차이는 16세기 개신교를 시작하게 한 종교개혁자들의 슬로건 ‘오직 성경, 오직 은혜, 오직 믿음’을 통해 극명히 드러납니다. 개신교는 오직 성경의 권위만 인정하지만 천주교는 계시의 통로를 ‘성경’과‘ 베드로부터 이어진 교회의 전통’ 이 두 가지로 생각합니다. 구원에 대해서도 개신교는 오직 믿음과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고 여기지만, 천주교는 세례를 통해 구원이 오며, 믿음 뿐 아니라 선행이 궁극적 구원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주장합니다. 또 천주교는 개신교와 달리 사제들에게 사죄권이 있다고 보고 고해성사로 죄사함이 가능하다고 여깁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사람들이 화장을 한 건 언제부터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류가 처음 화장을 시작한 것은 약 5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이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이 거주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스페인의 무르시아 섬에서 노란색 색소와 붉은 파우더가 든 조개껍데기를 발굴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광개토대왕비문에서 훼손된 내용은 어느부분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0년대 초 재일 한국인 사학자 이진희는 비의 문자가 석회 도포로 조작되었다는 주장을 하여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이형구는 비석 자체를 검토한 바, '倭'라는 글자는 '後'를 조작한 것으로, '來渡海破'라는 글자는 '不貢因破'를 조작한 것으로 주장하여, 비문을 "신묘년 이래 (백제와 신라가) 조공을 하지 않으므로, 백잔과 신라를 치고 신민으로 삼았다."라고 해석했다. 김병기는 '渡海破(도해파)' 부분이 정상적 비문과 다르며, 획의 부분을 따졌을 때, 원래 글자는 '入貢于(입공우)'라고 주장했고, 중국의 경철화(耿鐵華)는 '來渡海破'의 海에서, 부수인 삼수변(氵)이 종선 밖의 부분에 위치 있음을 통해 海가 아니라 '每'라고 주장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트레드밀은 원래 형벌도구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트레드밀(treadmill)이라고 불리는 러닝머신은 원래 1800년대 영국인 죄수들을 처벌하기 위해 고안된 고문기구였습니다.19세기 영국 교도소의 상황은 끔찍했습니다. 교도소법에 따라 범죄자들은 사형ㆍ국외추방을 선택하거나 교도소 수감생활을 해야 했는데, 교도소의 환경은 하나같이 비위생적이었습니다.게다가 1778년 통과된 중노동법에 의해, 수감자들은 수감생활동안 고된 노동을 의무적으로 해야 했습니다.1818년 영국의 기술자 윌리엄 큐빗은 수감자들의 중노동을 돕는 트레드밀을 고안해냅니다. 큐빗의 트레드밀은 10~20명의 수감자들이 가로로 눕혀진 거대한 원통을 밟아 돌리는 형태로 제작됐습니다.트레드밀에서 생산된 동력은 물을 퍼내거나 곡물을 분쇄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그리 효율적이진 않았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능 중에 합장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에는 총 8기의 합장릉이 있습니다. 영릉(英陵), 장릉(長陵), 융릉(隆陵),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홍릉(洪陵), 유릉(裕陵)이 합장릉에 해당합니다. 이 중 유릉은 순종과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세 사람을 합장하였습니다.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