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한준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준희 전문가입니다.
한준희 전문가
매스탑수학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안개는 어떠한 원리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포화 수증기량과 연관이 있습니다.온도가 높으면 공기중에 수증기가 많아지고 온도가 내려가면 공기중에 수증기양이 줄어 듭니다.가지고 있어야 할 양이 줄어드니 물방울이 되는거죠(기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겁니다)낮에 온도가 올라갔다가 새벽까지 온도가 떨어지니 눈에 안보이는 수증기가 눈에 보이는 물방울이 되는거죠이 물방울들이 하늘에 떠 있으면 구름땅 근처에 있으면 안개겨울에 서리가 되는것입니다.해가 떠서 온도가 올라가면 물방울들이 수증기가 되어 안개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화학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추우면 몸이 덜덜 떨리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은 온도 변화에 민감합니다.몸의 온도가 올라가면 온도를 낮추기 위해 땀이 납니다.땀이 나면서 몸의 열 배출을 도와주는 겁니다.반대로 몸의 온도가 내려가면 온도를 높혀야 합니다신체 활동을 통해 온도를 올리는 방법이 몸을 떠는것입니다.덜덜 떨다가 따뜻한 곳에 오면 더이상 온도를 올릴 필요가 없으니 떨림이 멈추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화학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승용차 에어컨 켜고 운행하면 기름이 더 소모되나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히터는 엔진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하는거라서 특별하게 에너지가 필요하지는 않지만에어컨은 온도를 낮추는 것이라 에너지가 필요합니다.그러면 기름을 사용해야 겠죠
화학
2023년 3월 18일 작성 됨
Q.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공기인가요? 아니면 산소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소화를 시켜서 우리가 필요한 영양소를 얻고 그 영양소를 가지고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듭니다.에너지를 만드는데 산소가 필요합니다.호흡은 산소를 받아들이는 과정입니다.공기중에 산소는 약 20%정도 있습니다.공기를 들어마시면 폐에서 산소만 몸 안으로 넣고 나머지는 배출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17일 작성 됨
Q.
산소 없이 살 수 있는 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숨을 쉬는 것은 산소를 받아드리는 것이죠.산소는 우리몸에서 에너지를 만들 때 필요합니다.어류들도 아가미를 통해 호흡을 하면서 산소를 받아드리죠.에너지를 만드는데 산소가 필요없다면 산소가 없어도 살 수 있겠죠.실제로 산소 없이 살아가는 생명체가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3월 4일 작성 됨
Q.
곤충중에 하루살이는 하루살아서 하루살이 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은 알. 애벌레. 성충으로 자랍니다.하루살이는 애벌레로 1년 정도 살고, 성충으로 짧게 살죠.매미의 경우도 비슷합니다. 유충으로 땅속에서 7년 정도 살다가 나무에서 매미가 되어서 한 계절 살면서 알을 낳습니다.눈에 보이는게 다는 아니거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4일 작성 됨
Q.
달은 낮에 보이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이 밤에 보이지만 낮에 보이지 않는 것과 비슷한 이유입니다.낮에는 태양이 밝아서 하늘에 별과 달이 보이지 않죠
물리
2023년 3월 3일 작성 됨
Q.
왜 추울때는 몸을 달달 떠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체온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더울때는 땀을 배출하여 체온을 내리고추울때는 몸을 떨어서 체온을 올립니다.
화학
2023년 3월 2일 작성 됨
Q.
물이 얼면 불투명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얼음이 될때 불투명하게 보이는 것은 공기가 포함되어 있어서 입니다.물을 끓인후에 식혀서 얼리면 투명한 얼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6일 작성 됨
Q.
바이러스는 생물체로 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생명체로 보는 여러가지 요인 중에 대사작용이 있습니다대사작용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른 만드는거라고 볼 수 있는데바이러스는 숙주 안에 들어가서 숙주세포를 이용해서 대사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바이러스는 숙주 바깥에 있으면 대사 작용을 할 수 없어서 생명체라 볼 수 없습니다바이러스를 particle 입자라고 부르는 이유기도 하죠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