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생물을 이루는 계는 종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분류체계에서 계의 경우 세균계, 고세균계, 원생생물계, 균계, 식물계, 동물계 의 6계 체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이런 분류체계는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더 세분화 될 수 있습니다.아메바는 현재 원생생물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바이러스의 경우 생명체로 보기에 애매한 부분이 많아 생물 분류에 속하지 않고 바이러스만 따루 분류하는 체계가 있습니다.
Q. 임상 실험을 쥐가지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임상시험은 의약품 개발 중 사람에게 진행하는 실험입니다.임상시험 전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것은 전임상시험이라고 합니다.전임상시험은 쥐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동물들이 활용됩니다.전임상시험에 활용되는 동물들은 이미 어느정도 실험에 적합하게 모델링이 되어있습니다.최근에는 동물실험 전 배양된 세포에 시험하는 단계를 거치기도 합니다. 영장류 대신 쥐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비용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입니다.침팬치와 오랑우탄이 쥐보다 사람과 유사하겠지만 개체수가 적어 실험허가가 나기 힘들며개체당 비용이 매우 비싸고 사육과 관리에 드는 비용또한 만만치 않습니다.수명이 길고 새끼의 숫자도 적어 실험결과를 얻는데도 오랜시간이 걸립니다.쥐는 사육관리가 쉽고 번식력이 강하며 개체간 차이가 크지않아 통계적 유의성 확보에 유리합니다.또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쥐(mouse) 이외에 포유류에 속하는 랫(큰쥐 : rat), 기니피그, 토끼, 개, 돼지, 소 등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