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감각뉴런과 운동뉴런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감각뉴런과 운동뉴런은 몸에서 신경계로 분류하며, 감각기관과 운동기관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흐르는 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신경계로 따로 분류하기는 하지만 감각뉴런이 감각을 수용하여 뇌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감각기관의 구성으로 불 수 있으며, 운동뉴런도 근육의 움직임에 관여하므로 운동기관에 포함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감각뉴런의 경우 눈의 망막, 귀의 달팽이관, 코의 후각수용체, 혀의 미뢰 피부에 분포되어 있으며 감각기관이 감지할 수 있는 자극이 발생했을 때 세포막전위가 변하면서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합니다. 감각뉴런은 기다란 신경세포이며 마치 전선처럼 신호가 전달되고 다른 신경세포와 연결된 시냅스 부분에 신경전달물질을 생성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최종적으로 척수의 신경세포를 통해 신호를 뇌로 전달하거나, 뇌와 직접 연결되어 뇌에 직 신호를 전달합니다.뇌는 이런 감각정보들을 해석하고 우리가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하는데, 마찬가지로 신호를 운동뉴런에 전달하며 운동뉴런의 끝은 근육에 연결되어 있어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여 여러가지 움직임을 발생시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복제 동물인 돌리는 원래 있는 돌리랑 행동이 같은가요?
안녕하세요.돌리를 복제하는데 사용한 모체 양의 세포는 핀란드의 성체 양의 젖샘세포에서 추출하였다고 합니다.복제양 돌리와 모체가된 핀란드 양의 행동을 비교한 구체적인 자료를 찾지 못하였지만 돌리의 경우도 다른 양들과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행동을 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동일한 유전자를 가졌으므로 양으로의 행동이나 성격, 일부 행동패턴 등은 모체가 된 양과 유사했을 것입니다.또 6마리의 새끼를 자연임신으로 낳았기 때문에 이런 부분도 일반 양들과 같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하지만 각 개체별의 특성은 모체의 양과 달랐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런 부분은 환경적 요인, 경험과 학습, 건강상태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복제양 돌리는 모체가 된 양과는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자랐고다른 양에비해 건강상태가 빠르게 악화(노화가 이른 나이에 찾아옴)되어 양들의 평균수명의 절반인 6세에 안락사되었기 때문에 행동은 많이 달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균,바이러스, 박테리아 차이가?
안녕하세요.세균을 영어로 박테리아라고 합니다.세균은 단세포 미생물 중 세포핵과 세포소기관이 없는 원핵세포의 미생물을 말합니다.진핵세포는 세포 안에 다양한 소기관을 가지며 유전물질이 세포핵 안에 보관되어 있지만세균의 경우 원핵세포로 유전물질이 세포질에서 떠다니며, 세포소기관도 없습니다.펩티도글리칸으로 이루어진 세포벽을 가집니다.편모나 섬모를 가져 헤엄치는 종들도 있습니다.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이 단백질 캡슐안에 들어있는 구조를 지닌 유기체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명체로 봐야할지 아닌것으로 봐야할지 논란이 있습니다.유전물질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지만 생물체로 보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스스로 복제할 수 없고 다른세포에 감염되어야만 복제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으로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세균보다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보통 세균의 100분의 1정도 크기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벽에 붙어있는 이건 무슨 벌레일까요?
안녕하세요.가늘고 긴 다리와 몸통으로 보아 각다귀의 일종으로 보입니다. 외형이 거대모기 같아서 오해를 받기는 하지만 파리목 각다귀과의 곤충이며 모기류는 아닙니다.주로 꿀이나 수액을 먹고 살아가며 이 과정에서 꽃가루를 옮기는 등의 도움을 줍니다.가느다란 몸에서 느껴지듯 스트레스를 받으면 쉽게 죽는다고합니다.생긴게 크고 모기를 닮았지만 사람에게 딱히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문이 똑같은 사람이 있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지문의 일치가능성은 여러 이론에 따라 640억분의 1 혹은 1870억분의 1등 몇몇 학설이 있습니다.계산 방식이나 비교 방식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여러가지 형태의 지문은 튜링패턴이라는 수학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지문은 태아시기에 형성되며 몇가지 패턴에 의해 형성되지만형성과정에서 수 많은 요소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지기 때문에 결과로 나타나는 조합은 수를 가늠할 수 없고, 어떤 지문을 갖고 태어날지 예측할 수도 없습니다. 현재 인구는 80억명 정도입니다. 현재까지 지문이 같은 사람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또한 특정 현장에서 지문으로 사람을 찾을 때 지문이 같은 다른사람일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지문이 100%일치하는 사람이 세상에 존재해서 같은 장소에 비슷한 시간대에 해당 장소를 방문하고 갈 확률은 확률은 0에 수렴할 것입니다.
3063073083093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