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아프리카의 국경선은 직선처럼 반듯한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은 국경선이 직선으로 되어있는 곳이 많더라구요. 예를 들어, 이집트와 리비아의 국경선이나 알제리와 말리, 니제르의 국경선, 콩고민주공화국과 앙골라의 국경선 등을 보면 반듯하게 직선으로 되어있습니다. 보통 국경선이 지정되는 방식을 보면 하천이나 산맥과 같은 자연조건에 따라 경계가 구분되고, 전쟁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 등이 반영되어 형성되기 마련인데요. 하지만 아프리카 대륙의 국경선의 경우 서구열강들에게 오랜동안 식민지였던 과거때문에 당시 베를린 회의와 아프리카 쟁탈전으로 인해 서양열강들이 인위적으로 그어진 것이라서 반듯한 모양을 가지게 된것으로 추측됩니다
Q. 조선시대에 영토정복은 없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영토확장 시도가 거의 없긴 했습니다만 몇번 영토정복 사례가 있었습니다.첫번째는 정치적 목적을 위한 영토정복, 즉 북진정책이 있었습니다. 이 정책은 조선의 건국자인 태조 시절 정도전의 주도로 군제를 확립하면서 강화된 국방력을 바탕으로 요동을 정벌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북쪽 지역의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발전을 위한 것이었으며, 영토 확장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습니다.또한 조선시대에 경제적인 목적을 위해 영토를 확장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시대에는 울릉도와 독도는 해역 확보를 위한 경제적인 목적을 위해 영토를 확정하는 교류가 있었고 이 과정에서 안용복이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Q.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역을 택한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의 제4, 6대 내무경, 초대 내각총리대신, 초대 귀족원 의장, 초대 추밀원 의장, 초대 한국통감을 역임하였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권총으로 사살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은 1909년 10월 26일 러시아 제국 하얼빈의 하얼빈역에서 일어났습니다안중근 의사는 이토히로부미를 저격하기 위한 장소로 당시 한국이나 일본이 아닌 하얼빈을 선택했습니다. 이런 이유는 당시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본의 침략과 압제에 대한 반감이 높았고 그중 하얼빈역이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성이 높았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