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반기에 미국금리가 인하가 안될것이라고 하는데 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금리 인하가 늦어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 상황: 미국 경제는 현재까지도 놀라울 정도의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금리인상이 경기침체를 불러올 것이라는 예상에 반하는 상황입니다.- 인플레이션 억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금리 인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전반의 수요가 억제되었고, 이에 따라 경제가 약해질 경우 금리 인하로 초점을 옮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의 효과: 금리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금리 인상의 효과를 충분히 평가한 후에 금리 인하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국의 금리 인하 시기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서 금리 인하가 늦어지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입니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은 변동성이 크므로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전망은 다양하며,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https://naon.go.kr/content/html/2024/01/03/9d4cec7e-4070-4572-a030-b564d745380f.html ([국회보 주재관리포트]2024년 미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6517 (미 연준 금리인상 경로 끝자락의 '2024년 금리인하 전망' 의미는)
Q. 대출을 받을 때 스트레스 DSR이 도입된다던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스트레스 DSR"이란 기존의 DSR(Debt Service Ratio)에 스트레스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DSR은 소득 대비 대출금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스트레스 DSR은 이 기준을 강화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입니다.스트레스 DSR은 대출 금액과 대출 금리를 통해 연간 상환해야 하는 금액을 산정하여 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DSR을 산정합니다. 여기에 스트레스를 적용하겠다는 의미는 향후 금리가 인상되어, 차주가 상환해야 하는 금액이 증가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대출 한도를 산정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즉, 현재 적용 금리에 미래 인상될 금리까지 모두 합산하여 DSR을 산정하겠다는 의미입니다.DSR은 연봉과 관련이 있습니다. DSR은 소득 대비 대출금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5000만원인 근로자가 DSR 40% 적용을 받게 되면, 연간 원리금 총 상환액이 2000만원을 넘을 수 없습니다. 즉, 한달에 167만원 이상 원리금을 상환하는 조건으로 대출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스트레스 DSR 도입으로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대출을 받을 때 기준이 되는 DSR 기준을 강화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입니다. 이 제도는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Q. 국제 유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제 유가의 상승 원인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유국의 생산량 조절: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는 세계 원유 생산량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가 원유 생산을 줄이면 공급이 감소하고, 이는 유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경제 상황: 미국의 경제 호조와 중국의 경제 회복세 등으로 원유 수요가 증가하면 유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지정학적 위험: 전쟁, 정치적 불안정, 테러 등으로 원유 생산 국가에서 생산이 방해받거나, 원유 운송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유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미국 전역에 한파가 몰아치면서 일부 지역에서 원유 생산이 중단되는 경우 등, 환경적 요인도 유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국제 유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서 유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입니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은 변동성이 크므로 유가의 재상승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전망은 다양하며,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https://www.yna.co.kr/view/AKR20240130119100009 (국제유가, 중동전쟁 확산 우려 커져도 하락…예상밖 등락 이유는)
Q. 레온티에프 함수의 현금 현물 가격보조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레온티에프 함수는 소비하는 소비품목의 비율이 일정한 효용함수를 말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현금보조, 현물보조, 가격보조 등의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효과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보상변화와 대등변화의 개념을 이해하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보상변화는 가격변화에도 불구하고 원래 효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득의 변화량을 가리킵니다. 반면에 대등변화는 가격변화가 없으나, 가격이 변화했을 때 나타나는 효용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득의 크기를 의미합니다.이러한 개념을 통해 보면, 보상변화와 대등변화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같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소득효과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가격하락으로 효용이 증가할 경우 대등변화가 보상변화보다 무조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따라서 현금보조, 현물보조, 가격보조 등의 효과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레온티에프 함수의 특성과 소득효과, 가격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