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문민기 전문가입니다.

문민기 전문가
대성테크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보통개미와 달리 붉은개미, 총알개미가 물면 왜 더 아프다고 할까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붉은 개미의 정식명칭은 붉은 불개미로 남아메리카 열대나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인데 이 붉은 불개미의 꼬리에 달린 침에는 장수말벌의 20%정도의 독성인 솔레놉신이라는 독이 존재합니다. 이 때문에 증상은 가려움과 함께 불에 타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물린 자리가 빨갏게 부어오르며 하루나 이틀뒤에 농포가 형성이 될 수도 있을 정도로 독합니다.총알 개미는 남미 열대우림에 서식하는데 이 총알 개미로 불리는 이유는 한 번 쏘이면 총에 맞은 것 같이 끔찍한 고통을 주는 악명높은 독침때문입니다. 이 독의 정체는 포네라톡신으로 신경세포의 나트륨 채널이 닫히는 것을 막아 근육 경련과 지속적인 고통이 느껴지게 하는데 생명에는 지장이 없지만 한 번 쏘이면 고통이 24시간을 간다고 하네요.그래서 일반 개미와 비교했을 때 붉은불개미나 총알개미는 더 통증이 강한겁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라면 끓일때 스프 먼저 넣으면 끓는 속도가 더 빠르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더 빨리 끓는건 아니고 더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는게 정확한 표현일겁니다.일반적인 물의 끓는점은 100도인데 라면의 스프에는 소금이 들어 있습니다. 이 소금으로 인하여 물의 끓는 점이 더 높아짐에 따라서 스프를 면보다 먼저 넣는 경우에 면을 넣었을 때 끓는 온도가 스프가 없을 때의 온도보다 좀 더 높아져서 더 높은 온도에서 면이 끓여지고 이로 인하여 면이 빨리 익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밀물과 썰물은 어떤원리로 밀려왓다가 밀려가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이 발생하는 이유는 달과 지구의 회전운동 때문입니다. 하루에 두번씩 발생을 하는데 우리나라는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서해는 순식간에 물이 빠지면서 뻘이 형성이 되는 것이구요.말물과 썰물은 달과 지구가 회전운동을 할 때 지구로부터 달아나려고 하는 힘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달 쪽을 향한 바닷물이 달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서 부풀어 오를 때 반대편 지구의 바닷물은 원심력에 의해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예로 우리나라 바다가 밀물이 될 때 지구 반대편의 바다역시 밀물이 됩니다. 따라서 지구가 하루에 한 번 자전하는 동안 인력에 의해서 한 번, 원심력에 의해서 한 번, 총 두번의 밀물이 발생하게 됩니다.태양또한 밀물과 썰물에 영향을 미치나 워낙에 멀리 떨어져 있어서 그 영향력은 달보다 작구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자구자전이 반대가 된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작성자님께서 말하신 자전 방향이 반대가 될 때 바로 체감할 수 있는 현상을 보자면 우선 해가 서쪽에서 뜰겁니다.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을 하기에 해가 동쪽에서 뜨는 것처럼 보이는데 자전의 방향이 반대가 된다면 해가 서쪽에서 뜨는 상황이 일어나게됩니다.또한 해 뿐만이 아니라 모든 천체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바뀔것이며 자전방향으로 인하여 대기의 순환도 바뀌게 됩니다.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는데 자전방향이 바뀌며 편동풍의 영향권에 놓이고 해양성 기후로 변할겁니다.긍정적인 효과로는 봄철의 황사나 미세먼지가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곳으로 가지 않을까요?또한 해류의 방향도 변하게 될건데 사하라사막이나 호주의 사막등은 한류의 영향으로 사막이 발달하였다는데 해류가 바뀔 경우에 난류의 영향으로 사막이 아니라 울창한 녹지가 형성이 되지 않을까요? 반면 우리나라는 한류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아지고 강수량도 적어지며 또한 바다 생물의 종도 달라질 듯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번개가 칠 때 자동차 안으로 대피하면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안전합니다.우리가 타는 차량 내부의 경우에는 전류의 흐름이 전혀 없는 상태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번개가 칠 때 음전하가 반응을 하게 되는데 차량은 정번대의 음전하가 같이 반응하면서 전류를 정반대로 튕겨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자석을 보면 같은 극은 서로 밀어내려는 성질이 있는 것처럼 음전하끼리 밀어내면서 차량 내부는 안전하게 되는겁니다.또한 차에 낙뢰가 치더라도 같은 전하가 밀어내면서 고무인 타이어를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어버리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래도 차량중 주변에 나무나 건물은 낙뢰의 영향으로 잔재물에 의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유의해야겠죠.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잠수함의 구조와 원리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잠수함의 원리는 중력과 부력을 이용하여 잠수와 부상을 합니다. 잠수함의 앞과 뒷부분에 주부력 탱크에 바닷물을 채워서 잠수함의 중량을 조절하고 압축공기를 빼거나 불어 넣으면서 부력을 조절하여 잠수와 부상을 하는겁니다. 만일 바다 속으로 잠수하는 경우에는 주부력 탱크에 바닷물을 채워서 잠수함의 무게를 늘려 가라앉게 되는 것이고 물 속에서 떠올라야 할 경우에는 주부력 탱크에 압축 공기를 넣어 탱크 안의 바닷물을 배수시켜서 무게를 줄여 부력이 중력보다 커지게 될 때 잠수함은 바다 위쪽으로 떠오르게 됩니다.잠수함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함수와 중앙 함미로 구분합니다.함수 부분은 음파로 적을 탐지하는 소나 장비와 침실, 어뢰를 발사하기 위한 어뢰 발사관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함 중앙 및 함수 하부의 축전지실은 무거워서 잠수함을 바로 서게 하는 역할을 하며 함의 중앙 부분은 전투 정보실과 함을 조종하는 조종실이 있습니다.함미 부분은 기관실로 구성되어 있어 발전기 및 추진 모터 등의 장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오뚜기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설명하면 무게 중심이 오뚝이 아래에 위치해 있기에 항상 다시 일어서게 되어있습니다.일반적으로는 너비보다 높이가 긴 물체는 넘어뜨리면 넘어진 상태가 더 안정적이기에 그 상태가 유지됩니다. 오뚝이또한 높이가 너비보다는 더 길기에 세워놓는 경우에는 불안정한 상태이지만 오뚝이는 무게중심이 몸통의 아랫부분 중심부에 이기에 넘어뜨려도 넘어지지 않고 다시 서있게 됩니다.서 있는 상태의 무게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내려가면 오뚝이의 표면과 바닥면이 접축하는 부분과 일치하면서 서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고, 옆으로 누이면 무게 중심이 왼쪽이나 오른쪽 끝에 있기에 무게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내려가면 바닥면에 닿기전 빈 공간이 생기면서 다시 일어나는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여 서있는 상태가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GPS 장치 의 작동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GPS의 원리는 4개의 위성으로부터 나오는 전파를 분석하여 현재의 위치를 특정합니다. GPS 위성이 보내는 전파에 담긴 시간 정보를 수신기에서 받은 시간과 비교한 후 시간 차이에 따른 빛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면 GPS위성과 측정 위치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드는 의문점은 GPS오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4개의 위성이 필요한데 어떻게 24시간 내내 측정이 가능할까? 입니다. 거기에 대한 답은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은 산이나 바다 한가운데 혹은 사막등 어떤 곳이라도 4개의 위성이 항상 보이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파수신기만 있다면 날씨와는 무관하게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GPS보다 정밀한 DGPS와 CDGPS와 같은 기술도 개발되어 있습니다. 민간용 GPS는 20m정도의 오차를 가지는데 DGPS와 CGPS는 1cm까지도 위치변화를 알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복도 과학 기술이 접목 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복의 구성은 생각외로 복잡한데 가격만 보자면 우선 100억이 초과할 정도로 비쌉니다. 구성을 간단하게 나누면 내복과 선내 생활복 여압복 선외 활동복으로 나눌 수가 있는데 작성자분께서 말씀하시는 우주복에 대한 생각은 아마도 달 탐사를 할 때처럼 우주밖에서 활동하는 선외 활동복일 듯 해 이 활동복의 구성에 대해 설명드릴게요.월면복이라고도 부르는 선외 활동복은 우주를 날아다니는 먼지나 각종 전자파, 그리고 영하 수백도에서 영상 수백도사이의 변화하는 우주온도와 진공 상태에서 우주 비행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내외부압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고 비행선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지요.세부적으로 나누면 헬멧과 장갑 장화 생명유지장치 등등으로 되어있는데 몸체는 10개가 넘는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우주복의 무게는 100kg내외로 매우 무거워서 입는데만 한시간 가까이가 소요됩니다. 여기에 접목되어 있는 기술들에 대해서 일일이 열거하고 설명하자면 몇 페이지라도 부족할 듯 한데 작성자분께서 궁금해하시는 기술에 대해서 간략하게만 소개를 해보자면 첫째로 주생명유지장치인 산소공급장치가 있으며 선외활동 조종장치인 자세제어로켓과 로켓연료 계량기, 컬러텔레비젼카메라, 스틸카메라, 생명유지시스템조정장치, 긴급구조밸브, 체온조절장치, 대화스위치, 디스플레이와 산소압조절기, 위치알림용 깜빡이, 우주먼지가 못 들어오는 케블라층, 팽창억제용 테크론층, 공기를 품고 있는 폴리우레탄층, 냉각수 튜브가 통과하는 냉각환기층등이 있습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최초로 드론을 만든 사람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문민기 과학전문가입니다.작성자분께서 말하신 드론이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조종하는 기술을 말하는거면 무선 통신은 1887년 헤르츠가 맥스웰의 이론을 검증하면서 시작되었는데 무선으로 조종하는 개념은 니콜라테슬라가 1898년 모형 보트를 무선으로 조종한 기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교류전기를 최초로 개발한 그 니콜라가 맞습니다. 에디슨과 앙숙이었던 ㅎㅎ무선조종의 무인기 기본 이론을 테슬라가 만들었다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 라는 회사 명칭이 과거 니콜라 테슬라가 연구한 AC인덕션 모터로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상상의 계획으로 세워져서 테슬라라 명하게 되었구요.옆길로 새어버렸는데 이후에 1900년대 초에 미국에서 80km를 날아간 후에 폭발하는 무인 항공기 케터링 버그가 만들어 지면서 초기 드론은 전쟁으로 인해서 발전을 시작했습니다. 이 무인 자폭 드론을 모방한게 1945년도에 일본의 가미카제구요. 물론 가미카제는 유인 자폭 비행기이긴 하지만요.그 후에 1922년 메시지를 전달하는 무선 비행기인 스페리 메신저가 만들어졌고 1994년 미국 RQ-1프레데터가 첫 비행을 할 때까지는 전쟁의 역사속에서 드론이 발전합니다. 그리고 2010년 프랑스 패럿사가 스마트폰으로 조종 드론 'AR 드론'을 소개하면서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개인이 조종할 수 있는 드론의 시대가 열리게 된겁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