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전문가입니다.
김옥연 전문가
(주)무궁화신탁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국가 경제적으론 4계절이 있는 게 좋나요? 아니면 동남아처럼 덥기만 한 게 좋나요?
국가 경제적으로 따지게 된다면 아무래도 4계절이 있는 경우가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여러가지를 함께 할 수 있는 선택지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에요
경제동향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경제성장율의 최고치는 몇프로였으며, 언제 기록하였는가요?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시기는 과거 박정희 정권 시기로서 1973년도 14.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어요
경제동향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왜 미국은 제조업 쪽이 약한건가요??
미국의 경우 제조업이 약하다고 말하기는 힘들며 미국 또한 자동차 산업이나 반도체 산업이 발달해 있으나 인건비가 다른 국가에 비해서 높다 보니 그 생산기지가 미국에 없거나 외주를 주는 경우가 많아요
경제동향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고용지수와 금리관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미국의 고용지수가 굉장히 좋게 나오게 된다는 것은 현재 기업들이 경기침체를 느끼지 않고 활발히 영업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서,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고 소비성향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의 가능성은 낮아질 수가 있어요미국의 고용지수가 호조세로 나온 이유는 미국의 고금리가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AI산업의 대두로 인해서 기업들의 생산활동이 상승한 것 또한 큰 요인이 되고 있어요
경제동향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밸류업 정책 앞으로 일정이 뭐가있나요
밸류업 정책의 경우에는 강제성이 결여되어 있다 보니 그 실효성을 아직 논하기는 힘들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특히나 재벌들의 순환출자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주가가 상승할 경우 향후 상속세 때문에 승계의 어려움이 있어 기업들이 오히려 주가를 누르는 경향이 있어 제대로 이루어지기는 힘들 것이라고 보여요
246
247
248
249
2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