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공학박사입니다. 강인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공학박사입니다. 강인석 전문가입니다.
강인석 전문가
NS/연구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6월 10일 작성 됨
Q.
에어컨 실외기 찬바람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인석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의 실외기에서 찬 바람이 나오는 것이 아니고 실내기에서 찬 바람이 나옵니다. 에어컨의 원리는 냉매의 상태 방정식에 의해 결정되는데 압력이 올라가면 온도도 올라가고 압력이 내려가면 온도도 내려갑니다. 즉 에어컨에 있는 압축기를 통해 냉매 가스의 압력을 올려 응축기로 보내 액화시킨 후 팽창밸브를 통해 이 액화된 냉매의 압력을 떨어트려 온도를 내려줍니다. 온도가 내려간 냉매와 증발기(실내기 안에 있음)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 시켜 실내 공기의 온도를 내려줄 수 있어 실내기에서 찬 공기가 나올 수 있는 것입니다. 증발기에서 냉매의 온도는 실내 공기보다 온도가 더 낮고 팽창밸브에서 실내공기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를 갖도록 압력을 떨어트려 주는 것입니다. 이해가 갈 지 모르겠네요. 인터넷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찾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화학
2023년 3월 14일 작성 됨
Q.
드라이아이스가 녹지 않고 없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인석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 성분은 이산화탄소이기 때문에 압력을 높이면서 냉각을 하면 액체가 되지만 대기압에서 드라이아이스를 놓게되면 압력이 낮아 액체가 되지 않고 바로 기체가 됩니다. 액체와 고체가 되는 조건은 압력과 온도에 따라 다르므로 한 번 찾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화학
2023년 3월 10일 작성 됨
Q.
에어컨에서 왜? 물이 나오는지..또한 이 물은 순수한 물인가요?
에어컨의 실내기는 증발기입니다. 증발기 관내에는 차가운 냉매가 흐르고 각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 온도는 다르지만 대략 섭씨 7도 정도 됩니다. 관 외부로는 공기가 유동하는데 이 공기가 냉매가 흐르연서 차갑게 된 관에 닿으면 이슬점 온도 이하로 내려가고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응축되게 되면서 물이 생깁니다. 물 안에는 먼지와 세균 등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응축되면서 공기 중에 먼지 및 세균 등도 포함되게 때문이죠.. 그러니 순수한 물이라고 생각하고 드시지 마세요.. ㅎㅎ
생물·생명
2023년 3월 5일 작성 됨
Q.
무협지를 읽다가 궁금한 점이에요.
안녕하세요. 강인석 과학전문가입니다.뼈까지 녹일 수 있는 물질은 많지만 화골산이라 하면 산의 종류로 추측되며 염산 및 질산, 황산 등 여러개가 있을 수 있지만 정확하게 이것이다 말 할 수는 없네요.. 그냥 산 종류다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18일 작성 됨
Q.
수압이나 공압이나 멀어질수록 약해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인석 과학전문가입니다.열은 높온 온도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고 전기는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 듯 몰과 공기도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그런데 흐르는 동안 유로에서 저항으로 인하여 압력손실이 생깁니다. 관벽 등 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면과의 마찰 손실로 인하여 생기는 압력손실을 주손실이라고. 하고 유로의 단면적 변화 등 유로 형상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손실을 일반적으로 부차적 손실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압력손실로 인하여 흘러가는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압력이 약해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8일 작성 됨
Q.
태양열 에너지는 적도부근에서 하면 안되나요?적도부근에 태양열에너지 설치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인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적도는 지구 상에서 태양의 고도가 다른 곳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아 태양에너지를 가장 많이 받는 곳이지 24시간 태양에너지를 받는 지역이 아닙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적도도 낮과 밤이 생깁니다. 그리고 적도 지역에도 태양광 및 태양열 집열기가 설지되어 있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18일 작성 됨
Q.
기름 보일러 관련해서 문의 드리려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인석 과학전문가입니다.보일러에는 온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일정 온도로 가열되면 그 다음 부터는 가동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가열된 물은 열손실로 인하여 다시 온도가 내려갑니다. 그래서 일정 온도로 내려가면 다시 가열이 됩니다. 그러므로 온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일러를 꺼두시는 것이 에너지를 절약하는 길입니다.
화학
2022년 10월 28일 작성 됨
Q.
물과 기름은 안 섞이는데 어떤성질때문에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인석 박사입니다.물과 기름의 밀도차가 다르고 기름이 물에 녹지 않기 때문입니다. 밀도가 큰 물은 하부에 있게 되고 밀도가 작은 기름은 물 위에 뜨게됩니다.
화학
2022년 7월 14일 작성 됨
Q.
지구온난화에 있어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인석 박사입니다.저희가 사용하는 모든 물품들을 만들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소비됩니다. 그 에너지는 현재 화석연료로부터 얻고 있고 그 화석연료는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주범입니다. 제가 생각할 때는 구체적으로 생각하지 마시고 낭비 없이 아나바다 운동에 동참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화학
2022년 7월 5일 작성 됨
Q.
에어컨에 들어가는 냉매가 원래 무제한?이라던데
안녕하세요. 강인석 박사입니다.에어컨에는 가장 효율이 좋은 적정 냉매 충전량이 있습니다. 이 적정 냉매 충전량은 각 기기마다 다르며 이 적정 냉매 충전량 보다 많거나 적거나 하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똑 같은 전력을 넣어도 증발기에서 냉각량이 적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덜 시원해진다는 것과 같은 이야기입니다.하지만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으므로 무조건 냉매가 부족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모순입니다. 에어컨을 오래 사용하다 보면 부식이나 손상 등으로 인해 응축기나 증발기, 이를 연결하는 배관에서 크랙 또는 핀홀이 생길 수 있어 냉매도 누설되어 부족해 질 수 있습니다. 이 뿐만아니라 압축기도 마모가 되어 성능이 안 나오는 경우도 있고 응축기나 증발기 등의 손상으로 열교환이 잘 안되거나 먼지가 많이 끼어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죠... 여하튼 냉각 성능이 안 나오는데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여 조치하는 것이 맞습니다. 냉장고의 경우는 실내에 모두 설치되고 파손될 확률이 거의 없기 때문에 냉매 충전을 다시 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지 만약 파손으로 누설이 있다면 냉장고도 냉매를 다시 충전해야 합니다.
1
2
3
4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