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면마비, 환청같은 수면장애가 너무 심해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수면마비, 입면 환각 때문에 많이 불편함을 느끼시는 것 같네요. 이런 증상은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증상입니다. 다만 과한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수면 습관이 영향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잠을 자야하는 시간에 자고 그렇지 않은 시간에는 깨서 일상 생활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이러한 수면 마비 증상이 과도한 수면, 내 의지와 상관없이 잠에 드는 등 문제와 연관이 된다면 이는 기면증 등 다른 수면 장애의 증상일 수 있으니 수면 관련 전문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어떤 사람이 사이코패스 성향을 갖고 태어나도(유전 혹은 선천적 돌연변이) 불우한 환경(학대, 방임, 가정폭력)을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성격의 형성은 타고난 기질적 요인과 자라면서 주변의 양육 환경, 대인관계 등의 경험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불우한 환경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감정적 공감능력을 비교적 가질 것이라는 생각은 충분히 타당한 생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의 형성에 대한 연구는 실제로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일이며, 어떤 요소가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떤 환경을 제공했을 때 어떻게 아이가 자랄것인지에 대해 예측하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사이코패스 성향 등 성격의 형성에는 타고난 기질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준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Q. 이중 인격이나 다중 인격은 어떤 심리적인 장애를 겪고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다중인격은 실제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해리성 정체성 장애'라고 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두개 이상의 별개의 성격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고, 기억 상실, 둔주, 이인화, 이현실감 등 해리성 정신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동학대 등 학대의 기억이 있을 경우 해리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다른 위협적 환경, 좌절감 등 견디기 힘든 고통을 심리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해리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는 외상에 대한 인지치료, 동반된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약물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조울증이란 병이 있던데요 조울증이란 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조울증은 일반적으로 정신과에서 양극성 장애라고 일컫는 병을 말합니다. 양극성 장애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질환의 양상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조증, 경조증과 우울증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우울증은 우리가 알고 있듯 우울감, 불면, 자살사고, 무기력감, 집중력 저하 등 문제가 지속되는 것을 말하고, 조증은 자신감이 과대하게 팽창하고 말이 굉장히 많아지며 생각이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 등의 모습을 특징으로 합니다. 조증 삽화에서는 평소에 하지 않았던 위험한 일들을 하기도 하고 갑자기 사업을 벌이는 등 목표 지향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경조증은 비교적 기간이 짧거나 약한 정도의 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극성 장애는 일상에 심각한 기능적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은 전문의와 직접 대면하여 충분한 평가 과정을 통해 내려지게 되므로 증상이 의심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또는 병원에 내원하여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평소에는 괜찮다가 갑자기 숨이 막힐 듯한 불안감이 밀려오는데 불안 장애 초기 증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제세령 정신의학과 전문의입니다.비대면 상의 답변은 정확한 진단이라 보기 어려우니, 참고만 해주세요. 갑자기 숨이 가빠지고 가슴이 답답해면서 두려움을 느끼는 증상은 공황 발작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공황 발작은 특정 상황에 대한 공포, 트라우마, 카페인 섭취 등이 원인일 수 있지만, 이유 없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측할 수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서 예기 불안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스스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지속될 경우 정신건강의학과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현재 가진 불안이나 기분 문제등을 조절하는 약물치료, 증상에 대한 교육, 대처방법, 인지 왜곡을 교정하는 등 인지행동치료로 이루어 져있습니다. 우선은 정확한 평가를 받아보시고, 진단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아 질문자님이 가지신 문제가 조속히 해소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