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

김태훈 전문가
DH엔지니어링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제동권선이란 용어가 있는데 그 의미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난조 방지 권선. 동기 발전기에서 난조를 방지하여 고른 회전을 위해 주어진 권선의 일종으로 제동권선은 그 구조상 전기자의 3상권선에서 보면 일종의 농형 유도전동기의 2차권선으로서 작용하고, 회전자가 동기속도에서 벗어나 고속도로된 경우에는 그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작용하여 회전속도의 주기적인 변화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화재 위험성이 높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전선의 길이가 길어진다고 화재 위험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다만 확율이 높아 지는 것입니다.전선이 길게 사용하다보면 그 긴 전선을 누군가가 모르고 밟고 다니거나 아니면 상처가 생겨서 사고나 위험이 생기는 것입니다. 하지만 요새 멀티탭에도 안전장치가 있어서 화재나 사고가 그렇게 쉽게 나지는 않습니다.다만 관리포인트가 늘어나서 위험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또한 화재는 대부분 콘센트 접촉부분에서 제대로 잘 접촉이 안되거나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서 사고나 나니조심하시면 될거 같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에어컨을 1주일 이상계속 가동했는데 기계문제상 무리는 가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사무용이나 업무용은 대부분 항시 사용하기 때문에 그렇게 사용하면 1년정도 되면 고장이 나지만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은 1년중 3-4개월만 사용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여름 동안은 계속 사용해도 문제는 안되지만 전기요금이 부담스럽지 않으시면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공냉식과 수냉식의 냉각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공냉식 엔진과 수냉식 엔진은 엔진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공냉식 엔진은 열을 제거하기 위해 엔진 주변의 공기를 이용합니다. 엔진 주변으로 흐르는 공기가 열을 흡수하고 엔진 주변으로 나오면서 열을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열 교환 과정에서 냉각 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고 경제적입니다. 그러나 열 교환 효율이 낮아 열 문제로 인한 성능 하락이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수냉식 엔진은 열을 제거하기 위해 열 교환을 위한 수냉기를 사용합니다. 물이나 냉각제 등의 냉각 수를 엔진 내부로 순환시켜 열을 흡수한 후 냉각기로 옮겨 열을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열 교환 효율이 높아 고온 다운 문제를 해결하고, 엔진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성능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냉각기와 함께 복잡한 설계와 관리가 필요하며, 유지보수 및 수리 비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따라서, 엔진의 사용 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공냉식 엔진과 수냉식 엔진 중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적인 운전이 필요한 경우 공냉식 엔진을 사용할 수 있고, 높은 성능과 내구성이 필요한 경우 수냉식 엔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blue tooth의 통신 거리는 얼마만큼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블루투스는 Class에 따라 전파출력과 통신거리가 다르다.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Class 2로 4dBm 출력에 10m이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핸드폰의 무선 충전 방식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충전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자기 공진 방식자기 공진 방식은 기기가 직접적으로 충전기와 접촉하지 않아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합니다. 즉, 무선충전기 위에 스마트폰을 올려놓지 않고 근처에 두기만 한다면 충전이 된다는 소리인데요. 자기장 공진을 이용해 원거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여러 기기를 동시에 충전한다던가, 충전을 하면서 쉽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말로만 들어도 좋아보이는 이 방식은 현재 많이 상용화되지 않았는데요. 그 이유는 전류를 전자기로 바꾸고 공진하는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크기 때문에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강한 에너지가 공진되어 전달되는 방식인데, 이것이 우리 인체에 작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도 합니다.자기 유도방식1) 충전대 안에 있는 송신 코일이 신호를 보냄2) 이 신호가 호환되는 스마트폰에 있는 것과 같은 수신 코일을 찾음3) 수신 코일을 감지하면 전자기 유도 시작4) 송신 코일 내부에 있는 전자들이 코일 주변을 흐르기 시작5) 자기장이 발생되고 수신 코일 내의 전자들이 이 자기장을 감지6) 수신 코일 안에 갇힌 전자들이 자기장으로 인해 코일 주위로 흐르기 시작7) 수신 코일 안에서 이루어지는 이 전자의 흐름이 스마트폰에 있는 배터리를 충전해주는 전기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태양전지 관련해서 빛을 비추었을 때 광전류가 크다는 것은 태양전지 효율이 좋다고 봐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빛이 무한히 밝아지면 태양전지의 광발전과 광전류는 무한정 계속 증가하지 않아요. 이는 결국 태양광 발전과 광전류를 포화시키는 태양 전지의 물리적 한계 때문이에요.광기전 전력은 태양 전지의 전력 출력이며 전지에서 생성되는 광전류 및 전압에 비례해요. 빛의 강도가 증가하면 더 많은 광자가 셀에 흡수됨에 따라 태양 전지에서 생성되는 광전류도 비례하여 증가해요. 그러나 셀에서 생성되는 전압에는 태양 전지의 재료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밴드갭 전압이라는 한계가 있어요. 이 전압에 도달하면 전압이 더 이상 증가할 수 없기 때문에 빛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전지 전력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요.마찬가지로 태양 전지의 광전류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결국 포화 상태가 돼요. 광자의 흡수에 의해 전자가 생성되는 속도는 전자가 태양 전지 내에서 수집되고 수송될 수 있는 속도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에요. 광전류가 최대값에 가까워질수록 셀 내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속도도 증가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제한할 수 있어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블록체인이란 어떤 기술인가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저장됩니다.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는 것이며, 거래 내역을 결정하는 주체는 사용입니다. 이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며,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되면서 송금이 이루집니다. 신용 기반이 아니라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구성, 제3자가 거래를 보증하지 않고도 거래 당사자끼리 가치를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 블록체인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변압기 절연유 교체 주기는 얼마이지요?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절연유 교체는 2~3년, 길게는 5년 정도의 교체시기를 갖는 것이 좋습니다. 변압기의 문제가 없다는 전제하에, 정전등의 이유를 알 수 없는 사고가 발생했다면, 절연유 교체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교체여부를 결정할 수 도 있지만, 다양한 제품, 상태의 절연유를 오랫동안 지켜봐오신 경우가 아니라면 판단을 내리기가 어렵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에 감전됬을땐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
안녕하세요. 김태훈 전문가입니다.220V정도에 감전이 되면 순간적으로 아니 반사적으로 몸을 전로에서 뗄수 있습니다. 그러나 380V이상의 전압에서는 감전이 되는순간 그 전로에 붙어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감전 된 사람을 잡고 떼려다 보면 같이 감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절대로 그렇게 해서 안되고 감전된 부분 앞으로 가서 발로 차서 떼어주거나 다른 부도체로 밀어 내야 안전합니다. 옷은 부도체라고 할수 있으나 땀이라던가 체액 기타 이물질로 인해 도체가 될 수 있으므로 직접 손으로 잡고 떼는 것보다 안전하게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