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승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승민 전문가입니다.
황승민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2월 24일 작성 됨
Q.
한자를 상형문자라고도 하는데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승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상형문자는 상(어떤 사물이나 동물 등의 모습)을 본 떠서 만든 문자라는 말입니다. 간단한 예로 거북 귀 龜는 거북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문자입니다~~
역사
2023년 2월 24일 작성 됨
Q.
과거에 호랑이를 상처없이 어떻게 잡았나요?
안녕하세요. 호랑이의 가죽은 거칠고 두꺼워서 과거의 웬만한 날붙이로도 쉽게 손상하기 힘들었다고 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가죽의 손상없이 호랑이를 사냥하기 위해서는 벼락틀 같은 산짐승용 함정을 이용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역사
2023년 2월 24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 일본의 말들이 잔재로 남아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전쟁을 겪고 일제 강점기시절에 우리민족의 정신을 말살하기 위해 이름을 일본사람으로 바꾸게 하거나 우리 한글을 못 쓰게 하는 등의 민족말살 정책을 펼쳤는데요. 이때 우리의 선조가 쓰던 일본말 중에 몇가지가 아직까지 남아서 쓰이고 있는 것입니다.
미술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애니매이션중에 잘만든 애니매이션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승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도 애니메이션 좋아하는데요 저는 UP이라는 애니메이션을 좋아합니다. UP의 인트로 부분에 주인공이 나이가 들어가는 부분이 저한테는 짠한 감동을 줬던거 같습니다. 그 외에도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과 같이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들도 괜찮으니 안보셨으면 보시는 것도 좋을듯합니다.
역사
2023년 2월 22일 작성 됨
Q.
고려장이란 풍습은 실제로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황승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장이라는 풍습은 실제 우리의 풍습으로 믿고 있는 사람들이 많으나 실제 고려장이 있었다는 객관적인 근거는 없으며 세종 때의 삼강행실도에 나타난 것은 중국 효자전에 원각이야기를 실은것이며 조선총독부에서 출간한 조선동화집에서 언급된 것은 일본의 조선문화말살의 일환으로 보여집니다. 실제 고려장과 비슷한 도시설화는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여러 나라에서 전승되어 있기도 합니다.
역사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의 농법인 직파법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승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모를 길러서 옮겨심는 이앙법과 달리 씨앗을 논밭에 바로 뿌리는 벼농사법 입니다.
역사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쥐불놀이는 언제부터 왜하게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쥐불놀이에 언급이 되어 있는 곳은 동국세시기이며 이는 조선시대에 전승된 세시풍속을 정리한 풍속지입니다. 즉 조선시대부터 시작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쥐불놀이의 목적은 정원에 들판에 쥐불을 놓아 해충과 액을 쫒기위한 놀이였으며풍작기원 잡초가 타면서 거름이 되는 등 효과가 있었습니다.
미술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그림을 좋아하는데 개인적으로 어떻게 공부하면 그림보는데 도움될까요?
안녕하세요~ 그림을 감상 시 원론적인 개론서나 이론을 통해 그 그림에 쓰여진 기법 같을 것을 알고 보는 것도 좋지만 학술적인 목적이 아니시라면 전문 큐레이터가 계시는 전시관에서 큐레이터 설명과 그림에 얽혀있는 이야기 등을 들으면서 감상하시다 보면 그림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도 차츰 상승하시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많이 보는게 제일 좋지요.. 그 이후 개론서나 원론서를 보시면 좀 더 심도깊고 개론서 ,원론서를 보시는 것에 거부감도 줄 것이라 사료됩니다.
문학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한국어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한국어 교원자격증은 만약 해당 관련학과를 나오셨다면 바로 2급시험을 치시고 5년경력에 2000시간의 강의시수를 채우시면 1급으로 승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관련학과가 아니시라면 평생교육원에서 한국어교육 관련 과목 이수 후 3급을 취득하시고 3년의 경력 1200시간의 강의시수를 채워서 2급 승급 그 이후 1급 승급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 영어는 필수적이진 않지만 원할한 강의를 위해서는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됩니다.
역사
2023년 2월 21일 작성 됨
Q.
이상하고 문법파괴적인 신조어들은 어떻게 해야?
안녕하세요~신조어는 언어문화의 발달이라는 순기능과 함께 세대간의 의사소통 단절 , 한글의 훼손이라는 역기능이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분별한 신조어 사용을 막기 위해서는 대중매체의 역할이 크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 신조어의 파급이 대중매체로 가장 활발하게 되어지고 있기때문입니다. 대중매체에서 우리말 겨루기와 같은 매체가 많아진다면 신조어의 사용이 조금은 줄지 않을까 합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