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전문가
khpt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마그마에 쓰레기를 처리할 수는 없을까요?
안녕하세요.쓰레기 처리에 문제가 되는 요인은 태우고 나서 나오는 온실가스 및 독성가스 입니다.용암에 던진다고 하여 그것들이 나오지 않은 것은 아니니 그냥 태우는 것과 처리방식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무지개 색이 7가지만 보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빨주노초파남보의 일곱가지 색은 우리 눈이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빛은 파장이고 파장의 길이에 따라 색이 구분 됩니다.사람의 눈은 빨간색에서 보라색까지의 빛만 구분할 수 있는 성능입니다.가시광선이라고 부릅니다.(가능하다, 보다, 빛의 선)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갈수록 파장이 짧아지고빨간색보다 파장이 긴 경우 적외선 (붉을 적, 바깥 외)보라색보다 파장이 짧은 경우 자외선 (보라색 자, 바깥 외) 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산 정상에서 물 끓는 점이 낮아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기압이 낮기 때문입니다.물이 끓기 위해서는 물 분자가 공중으로 탈출을 해야합니다.기압이 낮으면 물 분자가 공기 중으로 탈출하기 더 쉬워지기 때문에 끓는 점이 낮아집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우리가 물체의 색을 보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먼저 우리가 색을 보기 위해서는 태양빛이 물체에 닿고빨간색의 경우 빨간 빛을 반사하고 나머지 빛을 흡수합니다.그럼 반사되어 나온 빨간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게되고동공을 지나 눈 안쪽의 시신경에 닿습니다.시신경에는 적 녹 청의 원추세포가 있습니다.이 중 적색원추세포가 빛에 자극을 받게 되고 뇌로 신호를 보냅니다.그럼 뇌는 아 적색원추세포가 자극받았으니 저건 빨간색이다 라고 인식하게되는겁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식물에게 물을 주면 물을 끌어올리는 원리는 무엇이죠?
안녕하세요.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위로 끌어올립니다.미세한 관에서는 물의 표면장력과 벽면에 달라붙는 힘 때문에따로 다른 힘을 사용하지않아도 자연스럽게 물이 관 위로 이동하는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 하는데식물 또한 모세관 혀상을 이용하여 물을 이동시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핵융합 에너지는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1. 핵융합 에너지는 말 그대로 핵이 융합하면서 나오는 에너지를 말합니다.핵융합의 핵은 원자핵을 말합니다.수소 핵융합을 예로들면수소는 양성자 하나로만 원자핵을 이룹니다.여기에 중성자가 하나 붙은 수소를 중수소, 두 개가 붙으면 삼중수소라고 합니다.중수소와 삼중수소가 핵융합을 하면 양성자 2개, 중성자 3개가 되죠.수소가 핵융합하면 나오는 물질이 헬륨입니다.헬륨은 양성자 2개, 중성자 2개로 이뤄져있습니다.그럼 중성자 하나가 남죠? 이게 바로 에너지가 됩니다.바로 유명한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 E=mc^2가 나옵니다.위 공식은 질량=에너지와 같은 말입니다.없어진 중성자 질량 만큼의 에너지가 핵융합 시 방출되는 것을 말합니다.2. 그럼 이 에너지를 무한히 이용 가능한가?에 대한 질문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야합니다.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전기는 어떻게 만들까요?대부분이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그걸로 터빈을 돌립니다.(물레방아처럼)그걸 전자기유도 형식으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태양광, 수소를 뺀 화력,원자력,수력,풍력 등 거의 모든 에너지를 터빈을 돌려 만듦)그럼 핵융합에서 방출된 에너지를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전기로 만들기 위해서는그 에너지로 물을 끓여 터빈을 돌려야한다는 것이죠.그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결국 우리가 무한한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핵융합 시 발생한 에너지로 물을 끓여야한다는 것이죠.여기까지는 아직 우리 기술로는 힘듭니다.이유- 핵융합을 유지할 기술이 없습니다.물을 지속적으로 끓여야하는데 핵융합 자체를 유지시킬 기술이 아직은 부족합니다.- 뉴스에서 본 핵융합 점화에너지보다 더 큰 에너지를 만들었단 말은 어폐가 있습니다.핵융합을 일으키기 위해 전달된 레이저의 에너지이지만 레이저를 만들 때 더 큰 에너지를 필요로했고방출된 에너지를 고스란히 써먹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질문 우주에서 중력은 어떻게 생기나요?
안녕하세요.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해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는 서로 잡아당깁니다.다만, 중력(만유인력)은 4가지 힘 중 가장 약합니다. 연필 정도의 가벼운 물체로 중력을 느끼긴 힘듭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총이나 대포같은것을 쏘면 엄청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데...
안녕하세요.작용 반작용 법칙에 따라 반동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군대에서 총을 쏴보셨다고 하셨는데 반동이 엄청난데.. 견착을 아주 제대로 하셨나보네요.반동은 운동량에 따라 다른데 운동량은 무게 x 속도 입니다.총을 예로들면가벼운 총알에 엄청난 속도가 가해져견착을 제대로 안하면 멍이 생길만큼 반동이 세게 옵니다.그 반동을 줄이기 위해 어깨에 밀착되게 견착을 하고 엎드려쏴 자세에선 총열과 다리가 일자가 되게 자세를 잡죠.견착 범위가 넓어질수록 단위면적당 받는 충격이 줄어들고총열과 몸, 다리를 일자로 만들어 충격시간을 길게 해 충격을 분산시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산불이 났을때 또 불(맞불)을 놓는다고 하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불이 번지기 전에 불의 진행 방향에 미리 불을 피워 연소할 물질을 제거하여불이 더 번지지 못하게 하는 방식입니다.물론 맞불을 붙일 때는 불이 크게 번지지 않게 조절하여 연소물질을 다 태워놓아야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비가 오기 전에 제비가 낮게 나는 것은 왜 그런 겁니까
안녕하세요.비오기 전에 벌레가 먼저 땅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지렁이 등 땅속에 사는 벌레 및 곤충들이 땅에서 나오고새들은 먹이를 찾기위해 낮게 납니다.
36373839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