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전문가
khpt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9월 7일 작성 됨
Q.
전자렌지로 유리컵에 물을 데우면 유리컵은 왜 안데워지는거죠?
안녕하세요.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로 수분을 진동시켜 열을 생성해냅니다.물 컵 속의 물 분자가 진동하며 열이 발생하고유리컵의 분자는 물에서 생긴 에너지로만 열을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다만, 유리의 열전달계수가 낮은 편이라 잠깐 물이 데워지는 정도로는 유리컵이 뜨거워지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7일 작성 됨
Q.
태양은 어떻게 해서 온도가 그렇게 높은가요? 어떤 물질이기에 계속 높은 열을 발산하나요?
안녕하세요.태양은 수소로 이루어져있습니다.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라 수소가 서로 끌어당겨 태양 중심에 높은 압력와 열이 생기게되고그 에너지로 핵융합을 하여 헬륨이 되며 많은 빛과 열을 방출합니다.수소가 다 소모된 뒤 헬륨 -> 베릴륨으로 핵융합하며 계속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화학
2022년 9월 6일 작성 됨
Q.
사람마다 체온이 다른 걸까요?
안녕하세요.약간의 체온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36.5°C 정도를 유지합니다.사람은 체온이 변하는 변온동물이 아닌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살 수 있는 정온 동물입니다.추위나 더위를 느끼는 정도의 차이는 개개인의 차이인데요.체온 유지를 잘 하지 못하면 추위나 더위를 더 느낍니다.체온 유지를 위해 땀을 흘리거나 몸을 떠는 등 체온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난다면체온 유지에 필요한 활동이 많아진다는 얘기이므로 체온 유지를 잘 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화학
2022년 9월 6일 작성 됨
Q.
온실가스 포집기술의 현주소는?
안녕하세요.실현은 가능합니다.현재 이산화탄소 포집하여 다른 물질로 만드는 기술이 실제로 설치된 지역도 있어요.어느나라인지는 정확히 기억안나지만 유럽쪽이었던 것 같습니다.이산화탄소는 포집의 문제도 있지만 처리 기술 자체의 발전이 더 급해보이네요.만족할만한 가성비의 기술은 아직 없습니다.
물리
2022년 9월 6일 작성 됨
Q.
땀을 흘리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땀을 흘리는 근본적인 원인은 체온 유지를 위해서 입니다.인간은 정온동물로 체온을 항상 같게 유지시키지 않으면 생존에 문제가 생깁니다.운동을 하거나 날이 더워 체온이 상승하게되면 몸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체온을 낮춰서 일정하게 유지시켜야합니다.
화학
2022년 9월 6일 작성 됨
Q.
수소로 에너지원을 사용한다면 화석 연료처럼 고갈 되나요
안녕하세요.수소를 만들 때 화석연료를 사용한다는 큰 맹점이 있습니다...다른 기술은 아직 가성비가 좋지 않아 많이 쓰이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획기적인 기술이 나오지 않는 한 화석연료는 고갈될 때까지 쓰일듯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대기압 측정에 수은이 이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수은은 상온에서 액체이고 비중이 커 무겁기 때문에같은 기압일 경우 측정 시 측정값이 더 적게 나옵니다.1atm (1기압) = 760mmHg(수은으로 측정) = 10328mmAq(물로 측정) 로1기압을 측정하기 위해 수은을 사용할 경우 76cm 로 측정 가능하지만물로 측정할 경우 10m에 해당하는 측정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수은을 사용합니다.다만, 미세한 압력 측정의 경우 mmAq를 쓰기도 합니다.
화학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헬륨가스를 흡입하면 목소리가 변하잖아요 이건 어떤 원리에 의해서 변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목소리의 차이는 진동수의 차이입니다.헬륨 가스는 일반 공기보다 가벼워 성대에서 진동을 일으킬 때 더 높은 주파수를 내게 되고 따라서 높은 음의 목소리로 변조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물은 100도씨에서 수증기로 변해 기체가 되는데 공기중에 있는 수증기는 100도가 안되는데 어떻게 존재가 가능하죠?
안녕하세요.1기압 100°C에서 물이 끓는 다는 것은물 내부에서도 기화가 진행된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물 분자가 가진 운동에너지는 각각 다릅니다.다른 물 분자보다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진 물 분자는 물 분자 사이의 인력을(끌어당기는 힘) 이겨내고 액체에서 튀어나가(증발) 기체상태가 되는데일정 압력에서 증기가 되는 양은 정해져있습니다.액체에서 튀어나가는 물 분자와 기체 상태의 물분자가 액체로 돌아오는 양이 같아지면 평형상태를 이루게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9월 5일 작성 됨
Q.
비오는날 우산이 피뢰침 역할을 한다던데
안녕하세요.전기는 저항이 약한 쪽으로 흐릅니다.공기보다 물, 금속이 저항이 약하기 때문에번개가 치면 나무 밑에 있지말라고 하죠.나무에 수분이 많기 때문에 번개가 나무쪽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우산 또한 마찬가지로 우산의 프레임이 금속으로 이뤄져있기 때문에 번개에 맞을 확률이 더 높습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