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pd-1 수용체에 pd-l1이 결합하지 못하는 항체 역할을 하는 것이 3세대 항암제인가요?
안녕하세요. PD-1(Programmed Death-1) 수용체에 PD-L1(Programmed Death Ligand-1)이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는 항체는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s)라고 불리며, 이는 현재 암 치료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차세대 항암 치료제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일반적으로 면역 체계가 암 세포를 자연스럽게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D-1/PD-L1 억제제는 종종 2세대 또는 3세대 항암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은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여 암 세포와 싸우도록 합니다. 3세대 항암제는 주로 면역 체계의 특정 타겟을 조절하여 암의 면역 회피 메커니즘을 차단하는 전략에 중점을 둡니다. 4세대 항암제는 특히 CAR-T 세포 치료제와 같은 더 진보된 세포 및 유전자 치료 기술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들 치료제는 환자의 면역 세포를 유전적으로 변형하여 암 세포에 대항하도록 설계합니다. 4세대 항암제는 보다 맞춤화되고 표적화된 치료를 제공하며, 종종 높은 비용과 복잡한 제조 과정이 필요합니다. PD-1/PD-L1 억제제는 때때로 면역 체계를 과도하게 활성화시켜 자가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는 건강한 조직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피로, 피부 반응, 소화기 문제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모든 환자가 이러한 치료에 반응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처음부터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하지 않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제의 비용이 매우 높고, 모든 환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Q. 벚꽃의 불시개화는 왜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벚꽃의 불시개화, 즉 예상치 못한 시기에 벚꽃이 피는 현상은 기후 변화와 계절적 요인에 의해 주로 발생합니다. 벚꽃은 특정한 기후 조건과 계절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입니다. 벚꽃은 일반적으로 겨울 동안 저온에 노출된 후, 봄철 따뜻한 기온이 되면 개화합니다. 그러나 가을이나 초겨울에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날씨가 지속되면, 벚나무가 잘못하여 봄이 온 것으로 인식하고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특히 가을에 일시적으로 기온이 상승한 후 다시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 벚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아 꽃눈이 조기에 발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온도 변화는 식물의 생리적 반응을 혼란시켜 개화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계절 패턴에 영향을 미쳐 봄과 가을의 경계가 모호해지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벚꽃 같은 계절성 식물들이 평소보다 일찍 또는 늦게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일조량의 변화 또한 벚꽃의 개화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긴 가을이 지속되면서 햇빛 노출이 증가하면, 벚나무가 추가적인 에너지를 얻어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Q. 과학자들이 실험 할 때 쥐를 사용해서 실험 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쥐를 실험 동물로 사용하는 것은 과학 연구에 있어 광범위하게 행해지는 관행입니다. 이러한 선택에는 여러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유전적, 생리적 및 경제적 요소가 주요합니다. 먼저, 쥐는 인간과 많은 유전적 및 생리적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사성은 인간 질환을 모델링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쥐는 인간의 면역, 신경, 순환계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암, 심장병, 정신 장애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연구에 이상적인 대상이 됩니다. 또, 쥐는 번식 속도가 빠르고 유지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이는 실험적 조작이 필요한 연구에 있어서, 빠르고 경제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쥐의 생명 주기가 짧아 한 연구자의 경력 동안 여러 세대의 쥐를 관찰하고 실험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쥐를 사용한 연구는 방대한 양의 과학적 데이터와 연구 기반이 있습니다. 수십 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쌓인 데이터는 쥐가 실험 동물로서 갖는 신뢰성을 높이고, 연구 결과의 예측 가능성 및 재현성을 제공합니다.
Q. 우리몸의 반사의 종류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간의 신체 반응 중 반사는 특정 자극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빠르고 자동적인 반응을 말합니다. 반사 반응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본능적 반사와 조건 반사입니다. 본능적 반사(Primitive reflexes)는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는 반응으로, 생물학적으로 필수적인 반응들을 포함합니다. 이에는 통증이나 강한 감각 자극에 대한 반동 반사(Withdrawal reflex), 눈의 깜빡임을 유발하는 갑작스러운 밝은 빛에 대한 반응 같은 보호적 반응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뜨거운 물체에 손이 닿았을 때 그 부위를 신속하게 접촉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반동 반사는 손상을 최소화하려는 신체의 자동적인 방어 메커니즘입니다. 조건 반사(Conditined reflexes)는 경험을 통해 발달하는 반응으로, 이반 파블로프(Ivan Pavlov)의 실험에서 유명해진 개념입니다. 조건 반사는 반복적인 자극과 그에 따른 행동 강화를 통해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식사 시간에 항상 종소리를 울린 결과로 개가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게 된 것은 조건이 형성된 반사의 예입니다.
Q. 토끼는 암수를 같이 키워야 한다고 하던데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암수 토끼를 함께 기르는 것이 권장되는 주된 이유는 토끼의 사회적 본성에 기인합니다. 토끼는 자연 상태에서 사회적 동물로, 그룹 내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생활합니다. 이러한 행동 양식은 토끼가 야생에서 생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의 보호 하에 있는 토끼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토끼는 다른 토끼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얻습니다. 암수 토끼를 함께 기르면 서로의 회사를 즐기며 상호 작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이는 토끼가 심심함과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하며, 행복하고 건강한 생활을 하는데 기여합니다. 단독으로 기르는 토끼는 외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공격성이나 기타 행동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암수 토끼를 함께 기르면 이러한 문제가 상당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른 토끼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은 토끼가 사회적 기술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토끼를 암수 함께 기를 경우, 번식 관리가 중요합니다. 토끼는 매우 빠르게 번식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적으로 성숙한 토끼의 중성화나 결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