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행복을 느낄만한 상황에서부터, 행복을 느끼기까지 과정이 어떻게 되죠?
안녕하세요. 사람이 행복을 느끼는 과정은 실제로 복잡하며, 다양한 신경학적, 생화학적, 심리적 요소들이 상호 작용합니다. 여러분이 제시한 순서는 이해를 돕기에 적절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행복을 느끼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행복할 상황에 처하다 : 이 단계에서는 개인이 긍정적인 상황이나 자극에 직면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들과의 재회, 성취의 순간, 또는 감동적인 경험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2. 감각 및 인지 처리 : 뇌는 이러한 상황을 감각 기관을 통해 인지하고, 관련 정보를 해석하여 경험의 맥락과 중요성을 평가합니다. 이 과정에서 뇌의 전전두엽과 같은 영역이 활성화되어 복잡한 인지적 처리를 담당합니다. 3.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 긍정적인 평가와 감정의 활성화는 뇌에서 도파민, 세로토닌, 옥시토신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자극합니다. 이 신경전달물질들은 기분을 좋게 하고, 보상과 쾌락을 느끼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행복 호르몬이 뇌에 작용하여 행복을 느낀다 : 신경전달물질은 뇌의 여러 부위에 작용하여 긍정적 감정을 강화합니다. 특히, 뇌의 보상 회로가 활성화되어 쾌락과 만족감을 경험하게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행복감을 초래하여, 이는 주관적인 경험으로 다양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행복의 정도가 신경전달물질의 양과 절대적으로 비례하는지 여부는 더 복잡한 질문입니다. 비록 행복 호르몬의 수준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개인의 기대, 이전 경험, 현재의 심리적 상태, 환경적 요인 등도 행복을 느끼는 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행복 호르몬의 양이 많다고 해서 항상 더 큰행복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각 개인의 뇌 화학물질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아스코르브산의 산화 반응와 ph농도
안녕하세요. 아스코르브산(Vitamin C)의 산화 반응은 pH에 따라 다르게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아스코르브산은 산성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으며, 이는 pH가 낮을수록 환원력이 강해 산화가 억제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매우 강한 산성 조건에서는 아스코르브산이 산화되어 데하이드로아스코르브산(Dehydroascorbic acid)으로 변하며, 이 변화는 비가역적일 수 있습니다. 아스코르브산이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갈변 반응은 멜라노이딘(Melanoidins)과 같은 색소 형성을 초래합니다. 이 과정은 특히 중성에서 약알칼리성 환경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므로, 아스코르브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pH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강한 산성 조건에서도 아스코르브산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pH 조절이 요구됩니다. 식품 산업에서 아스코르브산은 방부제로서뿐만 아니라 색상을 유지하는 항산화제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식품의 pH를 적절히 조절하여 아스코르브산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산화로 인한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 식품 첨가물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식품의 저장 기간과 섭취 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판다를 곰과의 동물로 확정한 시기는 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판다가 곰과로 분류된 것은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결정되었습니다. 이전까지 판다는 그들의 특성이 너구리과의 레서판다와 유사하다고 여겨져 분류가 혼란스러웠습니다. 이는 판다가 곰과 너구리 사이에서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DNA 분석 결과에 따라 판다가 진정한 곰의 일종임이 밝혀졌으며, 이제는 명확하게 곰과(Ursidae)에 속한다고 분류됩니다. 이러한 분류는 1980년대에 이루어졌으며, 그 이후 판다는 곰과에 속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 변경은 판다의 지화적 기원과 계통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인터넷 으로 영상을 봤는데요 물이 들어있는 pt병 의 아래쪽에 구멍을 뚫고 뚜껑을 열어 놓으니 물이 나오다가 뚜껑을 닫으니 물이 나오지 않던데요
안녕하세요. 물이 들어 있는 페트병의 아래쪽에 구멍을 뚫고 뚜껑을 열었을 때 물이 나오는 현상은 병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 차이 때문입니다. 뚜껑이 열려 있을 때는 병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연결되어 압력이 평형 상태를 이룹니다. 이때, 물은 중력의 작용으로 병 아래쪽 구멍으로 흘러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뚜껑을 닫으면 병 내부는 밀폐되어 외부 공기와의 연결이 차단됩니다. 물이 구멍으로 흘러나오면서 병 내부의 공기가 희박해져 내부의 압력이 낮아집니다. 이 낮아진 내부 압력은 물이 밖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막는 흡입력 역할을 하여 물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됩니다. 이 현상은 공기의 압력과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물리 법칙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빛의 굴절에서 컵속에 동전을 넣고 물을 부으면 동전은 컵의 바깥쪽으로 떠오르는것처럼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컵에 동전을 넣고 물을 부으면 동전이 바깥쪽으로 떠오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빛의 공기에서 물로 진입할 때 속도가 변하고, 방향이 굽어집니다. 공기에서는 속도가 더 빠르지만 물 속에서는 속도가 느려지면서 빛이 정상선(사건점에서 표면에 수직인 선) 쪽으로 굽어집니다. 이 굴절 때문에 동전은 실제 위치보다 더 높고 바깥쪽으로 위치한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는 굴절의 기본 원리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시입니다.
5115125135145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