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물리
물리 이미지
Q.  무게중심이란 정확히 어떤것 인가요?
안녕하세요. 무게중심(重心, Center of Gravity)은 물체의 무게가 균등하게 분포된 지점을 말합니다. 이 지점은 마치 물체 전체의 무게가 그 한 점에 집중된 것처럼 행동하며, 그 점에서 물체를 지지하면 모든 방향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리적으로 중요한 개념으로, 물체의 안정성과 균형, 운동을 분석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무게중심은 물체의 질량 분포에 의해 결정되며, 물체의 형상과 밀도에 따라 위치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균일한 밀도를 가진 대칭적인 물체의 경우, 그 무게중심은 물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합니다. 하지만 물체가 불규칙하거나 밀도가 고르지 않다면, 무게중심은 물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다를수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물체의 무게중심은 해당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결과로 정의됩니다. 즉, 중력은 물체의 모든 질량 요소에 작용하며, 이 중력들이 모여 무게중심을 형성합니다. 수학적으로 무게중심은 각 부분의 질량과 위치의 곱을 합하여 계산하며, 그 공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x 중심 = ∑ mᵢ xᵢ / ∑ mᵢ, y 중심 = ∑ mᵢ yᵢ / ∑ mᵢ, z 중심 = ∑ mᵢ zᵢ / ∑ mᵢ 여기서 mᵢ는 각 부분의 질량, xᵢ, yᵢ, zᵢ는 각 부분의 위치 좌표입니다. 무게중심은 물체의 안정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체가 무게중심 위에 있으면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무게중심이 낮을수록 더 안정적입니다. 예를 들어, 무게중심이 높은 물체는 쉽게 넘어지거나 불안정한 상태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 때문에 건축물 설계, 자동차, 비행기 등의 안정성 분석에 있어 무게중심은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집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뉴턴의 운동 법칙은 총 몇 가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뉴턴의 운동 법칙은 총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고전 역학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핵심 이론들입니다. 이 법칙들은 물체의 운동과 힘 사이의 관계를 수립하며, 각각의 법칙은 물리학의 근본적인 개념을 정의합니다. 첫 번째 법칙은 관성의 법칙(Law of Inertia)으로, 이는 물체가 외부에서 힘을 받지 않는 한 정지 상태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물체가 그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관성(Inertia)이라 하며, 이는 뉴턴의 제 1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F = 0 ⇒ v = 일정 (또는 정지 상태) 여기서 F는 힘을, v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두 번째 법칙은 가속도의 법칙(Law of Acceleration)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물체의 가속도와 질량 사이에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설명합니다. 물체의 가속도는 그 물체에 가해진 힘에 비례하고, 질량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뉴턴의 제 2법칙에 해당하며,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F = m⋅a 여기서 F는 힘, m은 질량, a는 가속도를 의미합니다. 세 번째 법칙은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Law of Action and Reaction)으로, 이는 모든 힘의 작용에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반작용이 따른다는 원리입니다. 이는 두 물체가 상호작용할 때, 하나의 물체가 다른 물체에 힘을 가하면,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의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F작용​ = −F반작용​ 이 세 가지 법칙은 고전 물리학에서 물체의 운동과 힘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느린 속도와 일상적인 규모에서의 운동을 매우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시간을 정말 되돌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시간을 되돌리는 것, 즉 시간여행(Time Travel)의 개념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학, 영화, 과학적 이론에서 매력적으로 다뤄져 왔습니다. 타임머신과 같은 장치는 많은 영화에서 등장하지만, 이론적으로 시간여행이 가능한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과학적 문제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본질과 관련된 현대 물리학의 중요한 개념들을 고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특히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중력과 속도에 의해 휘어지거나 느려질 수 있는 '시공간(Spacetime)'의 일부로 이해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거나 매우 강한 중력장에 들어가면 시간이 느리게 흐를 수 있습니다. 이를 시간 지연(Time Dilation)이라고 부르며, 이는 시간여행의 한 형태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미래로 향하는 시간의 흐름을 느리게 만드는 것이지, 엄밀한 의미에서 과거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가능하다고 주장되는 몇 가지 이론적 시나리오가 있기는 합니다. 예컨데, 웜홀(Wormhole)이라는 가설적 구조는 두 시공간의 다른 지점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웜홀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여행이 이론적으로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아직 실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으며, 수많은 물리적, 기술적 한계가 존재합니다. 또한, 타임 패러독스(Time Paradox)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할아버지 역설'이 있는데, 과거로 돌아가서 자신의 할아버지를 만나 그를 죽이면, 자신의 존재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리적 모순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패러독스는 시간여행의 가능성을 철학적, 논리적으로 한계짓는 중요한 문제로 작용합니다. 타임머신과 관련된 일화에서, 아인슈타인이나 발명가 에디슨이 타임머신을 개발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릅니다. 아인슈타인은 시간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으나, 시간여행 기술을 실제로 개발한 적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과학 기술 수준에서는 과거로 되돌아가는 형태의 시간여행은 실현 불가능한 개념으로 여겨집니다. 다만, 상대성 이론에 의한 시간 지연 같은 미래로의 '여행'은 이론적으로 가능하며, 시간이 앞으로 가는 흐름을 조작하는 것은 어느 정도 논의할 수 있는 주제입니다. 과거로의 시간여행은 아직까지는 과학적 검증을 통과하지 못한 상상 속의 개념에 가깝습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물에 떨어졌을 때 살 수 있는 높이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높은 곳에서 물에 떨어질 때, 물이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은 일정한 속도와 높이까지 가능합니다. 그러나 충분히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 물이 마치 단단한 콘크리트처럼 느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치명적인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는 종단 속도(Terminal Velocity)와 충격의 물리적 특성에 기인합니다. 사람이 자유 낙하할 때, 공기 저항과 중력 사이의 균형으로 인해 일정 속도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를 종단 속도라도 합니다. 평균적으로 종단 속도는 약 55m/s(약 198 km/h)에 이릅니다. 사람이 이 속도로 물에 떨어지면 물이 단단한 고체처럼 느껴지게 되고, 큰 충격으로 인해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물의 표면 장력과 높은 속도에서의 충격으로 인해 물이 부드럽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안전하게 물에 떨어질 수 있는 높이는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평균적으로 사람이 높은 곳에서 물에 안전하게 떨어질 수 있는 한계 높이는 약 15-20 미터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범위를 넘어서면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물에 부딪힐 때 큰 충격이 가해집니다. 특히, 10미터 이상의 높이에서는 정확한 자세(ex : 다리부터 떨어지는 방식)가 중요해집니다. 잘못된 자세로 떨어지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부상의 위험이 커집니다. 약 45미터 이상의 높이에서 떨어지면 생존 확률이 급격히 감소하며, 그 이상의 고도에서는 물이 더 이상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단단한 표면처럼 작용하게 됩니다. 실제로 종단 속도에 도달한 상태에서 물에 떨어지면 거의 생존 가능성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에 떨어질 때 안전한 높이는 약 15미터 이하로 유지해야 하며, 이 이상에서는 속도와 충격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순간이동은 엔젠가는 가능한 기술일까요?
안녕하세요. 순간이동에 대한 개념은 양자역학의 근본적인 특성 중 하나인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을 이용한 양자 순간이동(Quantum Teleportation)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양자 순간 이동은 양자 정보, 즉 특정 입자의 양자 상태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물질 자체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고전적인 의미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순간 이동과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양자 얽힘은 두 입자가 매우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서로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통해 한 입자의 정보를 다른 입자에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보의 복제가 아니라 상태의 '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전송된 위치에 새로운 상태가 생성될 뿐, 원래 입자는 그 정보를 잃습니다. 이를 이용해 양자 정보 통신과 같은 첨단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인간이나 물질 전체를 순간이동시키는 것은 양자역학적 한계와 물리 법칙에 의해 제약됩니다. 먼저, 에너지 보존 법칙은 순간이동의 실현에 큰 장벽으로 작용합니다. 만약 물질을 이동시키려면 그 물체의 모든 원자와 분자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야 하며, 그 정보를 복제해 다른 장소에서 재현해야 합니다. 이는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요구하며, 현재의 기술로는 이를 구현할 방법이 없습니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Uncertainty Principle)는 특정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순간이동 과정에서의 완전한 재현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드러냅니다. 이 원리에 따르면, 대상 물질의 모든 정보를 완벽하게 기록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를 정확하게 복제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양자 얽힘을 이용한 순간이동에서는 양자 정보 손실(Quantum Information Loss)의 문제가 제기됩니다. 전송 과정에서 미세한 정보의 손실이나 변형은 대상의 완벽한 재구성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는 순간이동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과학 기술로는 고전적 의미에서의 물질적 순간이동을 구현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며, 이는 물리학의 여러 근본적인 원칙에 도전하는 개념입니다. 미래에 이론적,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현 단계에서는 순간이동이 실현 가능하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5265275285295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