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플랜트 엔지니어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장철연 전문가
한화오션 전기계장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새로 산 전자제품은 왜 배터리를 완충 후에 쓰라고 되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처음에 제품생산시에는 완충을 하지 않고 베터리의 수명을 위해 70~80퍼 정도만 충전 후 테스트 후 출고 합니다. 출고 후 구매되어 바로 사용하면 모르겠는데 판매될때 까지 충전된 베터리가 자연 방전이 되기 때문에 원활하게 새제품의 성능을 내려면 아무래도 완충 후 사용하시는게 바람직 할 듯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릴게요!
토목공학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바닷물을 민물로 만들어 사용할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기술은 해수담수화 기술입니다! 실제 부유한 중동국가에서 사용하고 있고 전기분해 또는 멤브레인에 강한 압을 가해서 역삼투 방법으로 해수에서 담수를 분리하고 있습니다. 다만 바닷가 인근에 건설을 해야하고 많은 전기 또는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발전소가 필요합니다. (화력 OR 원자력) 발전소 통째로 담수화 기술에 사용될정도로 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자국에서 기름을 시추하는 저렴한 전기 값이 가능한 중동지역에서 많이 건설되고 있습니다. 또한 담수화시설 인근의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인근 해양생물이 죽는 양날의 검이기도 하지요. 국내에서는 두산중공업이 월클급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려요!
토목공학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대한민국이 마음먹고 핵을 개발하면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운반체 문제도 있는데 이것을 패스하더라도 사실 이론적 및 기반은 전부 갖추어진 상황입니다. 원심분리기로 얼마나 많은 양의 플루토늄을 추출하느냐가 관건인데 원심분리기는 국제조약기구의 감독을 받고 있고 실험실 레벨로는 택도 없이 오래 걸리기도 합니다. 국제적인 제제를 무시하고 만든다면 6개월 안쪽이지 않을 까 싶네요
기계공학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cctv에 ai가 도입된 기술이 개발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가 자체 판단하여 랜더링 이미지를 트레킹 하는 기술은 이미 구현되어 있습니다. (보통 게임에서 사용)허나 CCTV에 등장하는 불특정 다수를 등장인의 동의 없이 추적을 하게 되면 개인정보보호법을 침해할 여지가 없어서 그 판단을 사람이 내리게 하는 것인데 그 인력이 부족해서 일어난 사단인 것 같습니다.
화학
2023년 11월 2일 작성 됨
Q.
과학에서 물질의 상태중 분자운동이 가장 빠른게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그레이엄의 법칙이라고 있습니다. 같은 온도, 압력에서 기체의 확산 속도는 그 분자의 밀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합니다. 같은 온도에서의 분자운동량은 일정하니 분자의 종류는 상관이 없고 질량이 가벼운 분자는 빠르게 움직이고 무거운 분자는 느리게 움직이는 것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