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북극과 남극 및 다른 곳의 빙하가 녹는다면 해수면은 얼마나 상승할까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전세계 자료는 없지만 국내기준으로 해수면 상승 데이터가 있어서 가져왔습니다.아래 내용을 참고해 보셔요!출처 : MyWater - K-water와 함께하는 물정보포털 --21세기 한반도 기후 변화 영향과 전망https://www.water.or.kr/disaster/weather/weather03_01.do?seq=313&p_group_seq=25&menu_mode=3자료에 따르면, 2100년에 해수면이 ‘0.59m’ 상승할 경우 여의도 면적의 11배 정도가 물에 잠기고, 최악의 경우 100년 후에 한반도 해수면이 평균 1미터 상승하는 경우 여의도 면적의 32배가 침수 된다고 한다.기후가 어떻게 변할 지, 남극과 북극의 빙하가 얼마나 녹을지 예측할 수 없고, 빙하가 녹는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해수면이 상승하는 높이나 속도가 예상과 달리 더 빠를 수도 있지만, 지금까지의 추정으로는 지금 사는 세대에 심각한 위험이 될 정도는 아니다.다만, 작년에 이탈리아 베네치아에 최악의 홍수가 발생하여 베네치아의 75%가 물에 잠기는 일이 있었고, 올해도 홍수가 발생하여 잠정 피해액만 1조 원대에 달한다고 한다.해수면이 상승하면 비가 많이 와서 강물이 조금만 불어나도 홍수가 발생하고, 달의 인력에 의해 만조 시에 해수면이 상승한 상태에서 비가 오면 피해가 심각해질 수도 있다.첫 링크에서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수면 상승 높이를 ‘13m’로 올려 봤더니 한반도의 대다수 주요 도시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침수되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100m’ 상승할 경우, 현재 세계 대부분의 도시는 물에 잠기기 때문에, 그 이전에 도시 이전을 하지 않는다면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다.다만, 이 시뮬레이션은 아마도 단순히 고도를 기준으로 만든 것 같은데, 도시가 강과 인접해 있는 경우, 바다로 부터 들어오는 물이 강을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예상과 다른 모양으로 침수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