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양자컴퓨터 관련 국내 회사들은 어디어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양자컴퓨터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주요 기업으로는 케이씨에스, 쏠리드, 엑스게이트, 드림시큐리티, 한국정보인증 등이 있습니다. 케이씨에스는 SK텔레콤과 협력하여 양자난수생성 칩을 적용한 네트워크 장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쏠리드는 양자암호통신 장비와 연동 가능한 전송 장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엑스게이트는 양자암호 기반 VPN을 상용화했으며, 드림시큐리티는 양자 키 분배 기술과 포스트 양자 암호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보인증은 모바일 양자 OTP를 성공적으로 적용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Q. 빅데이터와 IoT가 결합된 전력 관리 시스템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빅데이터와 IoT가 결합된 전력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IoT 센서는 전력 사용량, 기기 상태, 환경 조건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 데이터를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전송합니다.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에너지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예측 모델을 통해 미래의 에너지 수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력 공급을 최적화하고, 에너지 낭비를 줄이며,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좋은 예로 최근 아이를 출산하면 전기세를 감면해주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데 저전력 시범단지 같은 경우는 Iot와 맞물려 70프로 이상의 전기세 감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Q. 화학공학과 지망하고 고3 선택과목 과학투과목3개 vs 2개 + 공학일반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같은 고민을 하고 화학공학과에 진학을 해서 현직으로 근무중인 선배로 조언드리겠습니다. 일단 저는 고등학교때 화2 생2 를 공부하였고 인서울 화학공학과에 진학을 하였습니다. 화학공학과와 화학과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우선적으로 말씀드리며, 실질적인 공부와 앞으로의 학점을 생각하면 물2 화2를 확실하게 가져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화학공학과의 학부에서의 강의는 화학과의 2학년 수준의 화학으로 화학물질의 물질전달 유체역학 열역학등 유체의 이동 즉 화학을 물리적인 성격을 풀어내는 부분이 강하고 그걸 현업에 적용하는 걸 배우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화학과는 디테일한 분자구조, 실질적인 화학적인 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테크닉, 합성등을 공부하며 화학공학과에서는 유기화학을 한학기정도 다룬다면 화학과는 3학기 이상을 다루는 곳도 있는 디테일하게 배움)투과목 3개를 가져가신다고 했는데 일단 고등학교때 투과목을 두개를 많이 선정하는데 보통 화학 생물을 가져갑니다. 이는 고등학교 이과생들이 의대를 목표로 많이하는 친구들이 지원하는 두개 과탐이기 때문입니다. (화2 생2 선택후 의대 약대쪽을 많이 진학함) 정말 화학공학과로 진학해서 관련 업종이나 연구로 일하겠다? 라면 물2 화2 공학 이렇게 선택하시고 막상 대학 다니면서 학부 공부하다가 meet나 약대 진학으로 재입학을 하든 반수를 한다는 선택을 할수있는 여지를 둔다면 물2 화2 생2로 선택하시는게 좋은 선택이실 듯 합니다. (어차피 화학공학 교양으로 생명공학개론이나 유기화학 초반부에 생2내용이 수록 학점을 좀더 잘 받아봅시다. )아직 신학기 전이니 많이 고민해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파이팅
Q. 반도체 디스플레이의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스텝 커버리지 문제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박막 트랜지스터의 스텝 커버리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신 소재 연구는 주로 새로운 박막 소재 개발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한국재료연구원은 유기물과 무기물을 이중으로 적층해 물리적, 화학적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필름형 태양전지와 센서 등에 적용 가능하며, 기계적 내구성을 크게 개선했습니다. 또한, 새로운 계면 박막 소재를 개발해 공정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계적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