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어제 강아지가 바나나 까 놓은 걸 한 개를 다 먹었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바나나 자체가 독성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반드시 문제가 발생하는것은 아니지만 https://diamed.tistory.com/897 췌장염 위험성이 높아진 상태이니 증상이 나타나면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진료 받아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우 맑은 호수 안의 나무가 썩지 않는 이유(or 매우 느리게 부패)가 무엇인가요?
호수 안의 나무가 썩지 않거나 부패 속도가 매우 느린 이유는 호수의 환경적 특성 때문입니다. 매우 맑고 차가운 호수는 일반적으로 산소의 농도가 낮은데, 이로 인해 미생물과 박테리아의 활동이 제한됩니다. 부패는 주로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산소가 부족하면 나무의 부패 속도가 느려집니다. 또한, 차가운 물은 생화학적 반응 속도를 늦추어 유기물의 분해 과정을 더디게 만듭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의 경우도 생태계를 교란할 수도 있나요?
네, 식물도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를 교란하는 식물은 주로 외래종으로, 새로운 환경에 도입되었을 때 급속히 번식하며 토착 식물의 생육을 방해합니다. 이런 식물은 자생 식물과의 자원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 토착 종의 서식지를 차지하거나, 특정 화학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알렐로패시 작용을 통해 교란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가시박이나 환삼덩굴 같은 외래종이 다른 식물을 덮어 햇빛과 영양분을 빼앗아 생태계 균형을 무너뜨립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어떻게 난자와 정자를 채취해서 오랜 시간동안 보관 가능한가요?
난자와 정자는 채취 후 특수한 동결 보존 기술을 통해 오랜 기간 보관됩니다. 이를 위해 주로 액체 질소를 사용해 영하 196도 정도로 급속 냉동시키는 동결 보존법이 이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정자는 비교적 쉽게 냉동할 수 있지만, 난자는 세포 구조상 더 민감해 동결 시 손상을 막기 위해 '유리화(vitrification)'라는 기술을 사용해 세포 내 얼음 결정 형성을 방지합니다. 냉동 상태에서는 대사 활동이 거의 중지되어 손상 없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필요 시 해동 후 수정 과정을 거쳐 생명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복치는 정말 쉽게 죽는 동물 인가요?
개복치는 쉽게 죽는다는 인식이 있지만, 이는 다소 과장된 면이 있습니다. 개복치는 비교적 약한 체질을 가지고 있어 환경 변화나 질병에 취약하지만, 바다에서 큰 크기로 자라면서 일정 수준의 생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시고기나 해파리 등과 충돌하거나 기생충 감염, 수온 변화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로 인해 관리하기 어려워 보이지만 자연 상태에서는 꽤 오래 생존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장춘 박사님의 업적은 무엇인가요?
우장춘 박사님은 한국의 근대 농업과 육종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농학자로, 특히 채소 육종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습니다. 대표적으로 배추와 무의 교잡 기술을 개발하여 안정적인 종자를 확보함으로써 한국 농업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또한, 다양한 식물의 교배 기술을 발전시켜 농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을 높였습니다. 씨 없는 수박의 경우 그가 직접 개발한 것은 아니지만, 그의 연구와 노력은 한국 농업의 현대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햄스터가 자신의 새끼를 잡아먹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햄스터가 자신의 새끼를 잡아먹는 가장 큰 이유는 스트레스와 불안 때문입니다. 환경이 불안정하거나 위험하다고 느끼는 경우, 새끼를 보호하기 위한 본능적인 행동으로 취급됩니다. 또한, 어미 햄스터가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했거나 새끼가 약하다고 판단될 때 이런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끼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어미의 생존을 위한 본능적인 결정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현재는 개구리를 못잡게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왜 못잡게 할까요?
개구리를 잡는 것을 금지하는 이유는 개체 수 감소와 생태계 보호를 위해서입니다. 개구리는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곤충 조절과 먹이사슬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서식지 파괴,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개구리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어 이들을 보호하고 생태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포획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철새가 날아드는 계절만 오면 발생하는 일 같은데요 전북 정읍에 날아드는 조류에서 고병원성 AI 항원이 검출되었다는데 이것은 닭이나 가축 또는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는 것인가요?
네, 고병원성 AI 항원은 철새에서 가금류로 전파될 수 있으며, 가금류 사이에서 급속히 퍼질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람에게도 드물지만 전염될 가능성이 있으며, 주로 감염된 조류와의 직접 접촉이나 분변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 방역 조치를 철저히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의 몸 속에 흐르는 산소는 뭐라부르나요?
사람의 몸속에서 흐르는 산소는 혈액에 의해 운반되며, 이 산소는 주로 혈액 내 헤모글로빈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합니다. 산소포화도는 혈액 내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한 정도를 나타내는 비율로, 일반적으로 퍼센트로 표시됩니다. 산소포화도가 높을수록 혈액이 산소를 충분히 운반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인체는 산소를 통해 세포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므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세포 기능이 저하되어 생명 유지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1411142114311441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