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개미 책을 보면 개미가 호르몬으로 대화를 하던데 그 책 내용처럼 사람과도 대화가 가능할까요?
호르몬으로 개미가 대화한다는 것은 주로 페로몬과 같은 화학 물질을 통해 소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미는 특정 페로몬을 분비해 정보 전달, 경고, 길 안내 등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소통은 사람의 의사소통과는 매우 다릅니다. 사람은 언어, 표정, 음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며 호르몬은 주로 내부 신체 반응 조절에 관여합니다. 사람과 개미가 호르몬으로 대화하는 것은 현재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며, 개미의 화학적 소통 방식을 인간의 언어적 대화처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큽니다. 소설적인 상상력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에서는 기술적 및 생리학적 장벽이 큽니다.
Q. 현재의 DNA복원기술로 어느 정도 전에 멸종한 동물의 복원이 가능하나요?
현재의 DNA 복원 기술로는 수만 년 이내에 멸종한 동물들의 복원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여겨집니다. DNA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6500만 년 전과 같은 오래된 시기의 공룡 DNA를 복원하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합니다. 실제로 연구자들은 시베리아의 동토에서 발견된 수만 년 전의 매머드 DNA를 활용해 이를 복원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 멸종한 종, 예를 들어 20세기 초에 사라진 태즈메이니아호랑이나 철새인 여행비둘기 등에 대한 복원 연구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Q. 강아지가 밤에만 제자리 이불을 빠는데 왜 그런걸까요?
강아지가 밤에 이불이나 카펫을 빠는 행동은 보통 안정감과 자기 위로를 위한 것입니다. 이는 어릴 때 젖을 먹으며 느꼈던 안락함을 재현하려는 습관일 수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나 불안감이 있을 때 두드러집니다. 환경의 변화나 신체적 불편함(예: 신장 문제)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물과 사료를 섞어 주는 것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닐 가능성이 크지만, 위장이 민감해지거나 음수량 변화가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속이 불편할 때 입으로 물건을 빠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행동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스트레스 요인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며, 필요 시 수의사와 상담하여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현재 우리나라의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는 완정히 망가져서 줄기세포의 줄도 언급을 안할까요?
황우석 사태 이후로 국내 줄기세포 연구는 한동안 큰 타격을 입었으며, 관련 연구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정부와 학계는 연구 윤리와 투명성을 강화하며 재정비를 거쳤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줄기세포 연구가 재개되었고, 특히 성체 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iPS) 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즉, 과거의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하고 있는 상황이며, 여전히 줄기세포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