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의 서식하는 연체동물은 몇 가지 종류가 있나요
우리나라에는 약 1,000종 이상의 연체동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는 문어, 낙지,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뿐만 아니라 바다달팽이, 고둥, 조개류 등 다양한 연체동물이 포함됩니다. 특히 한국 연안에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여러 종류의 연체동물이 서식하며,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Q. 거북이 전문가 계십니까ㅜㅜ~~??
페닌슐라 쿠터 거북이 중 한 마리가 육지에만 있고 먹이를 먹지 않고 잠만 잔다면 건강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행동은 스트레스, 소화 문제, 호흡기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호흡기 감염은 거북이에게 흔한 문제로, 증상으로는 입을 벌리고 숨쉬기, 콧물, 기운 없음 등이 있습니다. 물 온도는 적당해 보이나, 습도와 UVB 조명의 질도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거북이가 탈수 상태에 있거나 질병에 걸렸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파충류 전문 수의사에게 진찰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Q. 산행을 하다보면 칡넝쿨이 나무를 감싸고 올라가는데이것은 두나무가 공생을 하늕것인가요? 아니면 칡넝쿨이 나무에 기생하는 것인가요?
칡넝쿨이 나무를 감싸고 올라가는 것은 기생이라기보다는 기생적 성향을 가진 경쟁 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 칡넝쿨은 햇빛을 더 잘 받기 위해 나무를 지지체로 사용하여 위로 올라가지만, 이는 나무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칡넝쿨이 나무를 덮으면 나무가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해 광합성에 지장이 생기고, 무게로 인해 가지나 줄기가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칡넝쿨은 나무를 이용해 자신의 생존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이는 두 식물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공생 관계는 아닙니다.
Q. 먹는 음식에 따라 사람 몸에서 나는 체취가 다른가요?
사람의 체취는 유전과 식습관 모두의 영향을 받습니다. 기본적으로 체취는 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각 개인의 땀샘 분비물과 피부에 서식하는 세균이 체취를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식습관도 체취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늘, 양파, 향신료가 많은 음식은 체내에서 분해될 때 특유의 냄새를 땀과 숨을 통해 배출합니다. 또한, 고단백 식단이나 고기 위주의 식단은 체취를 강하게 만들 수 있으며, 채식 위주의 식단은 비교적 부드러운 냄새를 유발합니다. 결론적으로 유전이 기본적인 체취를 형성하지만, 식습관이 이를 강화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습니다.
Q. DNA는 모든 세포안에 들어가 있는 건가요?
DNA는 우리 몸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 들어 있습니다. DNA는 유전 정보의 저장고로, 생명체의 발달, 기능, 생장, 번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간의 경우, 거의 모든 세포 핵 안에 DNA가 있으며, 이 DNA는 염색체 형태로 존재합니다. 다만, 적혈구처럼 핵이 없는 일부 세포는 DNA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DNA는 이중 나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네 가지 염기(아데닌, 티민, 구아닌, 사이토신)의 조합으로 유전 정보를 코드화하여 생명체의 특징을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