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너무 적극적인 강아지, 훈련이 필요할까요?
충동 조절 부족과 사회적 신호 인식 미숙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훈련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강아지와 마주칠 때 "앉아" 등 기본 복종 훈련을 통해 차분히 대기하게 하고, 리콜(부르기) 훈련을 강화하여 보호자 호출에 즉시 반응하도록 해야 한다. 사람을 만날 때는 "앉아야 인사할 수 있다"는 규칙을 설정하여 앞발을 올리는 행동을 통제하고, 네 발이 모두 땅에 있을 때만 인사 기회를 주는 방식으로 수정해야 한다. 추가로, 신체적 운동뿐만 아니라 정신적 자극을 병행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필요가 있으며, 모든 훈련은 긍정 강화 원칙에 따라 일관성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