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Q.  행운목은 원래는 얼아나 크게 자라는 식물인가요?
행운목은 원래 아프리카 열대 우림이 자생지이며, 최대 6미터 이상까지 자라는 큰 나무입니다. 행운목은 학명으로 드라세나 프라그란스이며, 자연 상태에서는 나무 형태로 자라 굵은 줄기와 큰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실내 원예용으로 판매되는 행운목은 관리와 공간 문제 때문에 줄기를 잘라 작게 키우고, 잎이 몇 개 나 있는 형태로 유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Q.  동물병원 다녀온후 고양이 코에 없던 점이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사진상 털이 덮여 있어 사진만으로 병변을 추론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수의사이 육안 확인을 받아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Q.  멸종된 갯과 동물이 다이어울프가 복원되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최근 복원된 다이어울프는 완전한 부활이 아니라 유전자 편집으로 일부 특성을 재현한 유사 동물입니다. 미국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가 회색늑대의 유전자를 편집해 다이어울프와 비슷한 늑대 세 마리를 태어나게 했지만, 원래 다이어울프와 동일한 유전자는 아닙니다. 유전적 특성과 생태적 역할 모두 과거 다이어울프와 차이가 있어 진정한 복원이라기보다 부분 복원 또는 재창조에 가깝습니다.
Q.  의학이나 생물학적인 실험에서 특히 쥐를 사용하는 이유는?
쥐를 의학이나 생물학 실험에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첫째, 사람과 유전자가 약 90% 이상 유사하여 질병 모델로 적합하고 둘째, 번식 속도가 빠르고 수명이 짧아 세대 교체와 장기 관찰이 용이합니다. 셋째, 크기가 작아 사육 및 관리 비용이 저렴하고 넷째, 유전자 조작 기술이 발달해 특정 질병 모델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섯째, 기존 연구 데이터가 많아 실험 결과 비교와 해석이 편리합니다. 여섯째, 윤리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어 연구 활용도가 높습니다.
Q.  식도, 위장관에 이소성 치아 혹은 이종골화증이 생기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1, 밥을 먹으면 곧장 구토한다. 2, 음식을 삼키면 가
식도나 위장관에 이소성 치아나 이종골화증이 생기면 주로 물리적 폐쇄나 염증, 궤양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 음식 삼킴 곤란, 삼킬 때 통증, 식도 내 이물감, 구토, 역류, 체중 감소, 식사 후 바로 구토, 가슴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식도에 생긴 경우 음식 삼킴 후 즉각적인 구토나 흉부 압박감, 통증이 흔하고 위장관에 생기면 소화불량, 복통, 만성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정도는 병변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6716726736746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