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건강
Q. 반려견과 함께 생활하는 집에서 적합한 인테리어 소재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보호자가 강아지를 어떻게 키워서 성품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산책 부족으로 강박적인 성향의 강아지로 키우게 되면 나무, 스펀지, 플라스틱 소재들은 씹어먹고 이물로 고생하게 하고, 근량부족등은 대리석이나 장판등에서 넘어지면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요. 모든 소재에 대응하는 각각의 문제들이 있으니 좋은 보호자가 되기 위한 노력이 인테리어 소재를 찾는것보다 중요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Q. 반려동물 입양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동물을 키울 수 있는 사람인지를 먼저 확인하는게 우선합니다. 테스트는 간단합니다. 지금 바로 서점으로 가서 강아지면 강아지, 고양이면 고양이, 키우고자 하는 축종의 키우기에 관한 책 3권을 구매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그 과정이 귀찮거나, 어렵거나, 시간없거나, 책 3권의 비용이 부담되거나, 인터넷을 찾아보면 되니 별로 필요 없다는 생각을 하였다면절대로 동물을 키워서는 안됩니다. 동물을 키운다는것은 고작 책 3권 구매해서 정독하는것보다 몇곱절 귀찮고, 어려우며, 시간을 많이 소비하고, 많은 비용이 들며, 별로 필요 없어 보이는 일을 무한정 반복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반려동물 훈련
Q. 강아지가 아들방에서 자는데 들어가기전에 누구야 하고 불러도 목소리를 몰라보는데 맞나요?
강아지가 아들방에서 으르렁거리는 행동은 목소리를 몰라보는 것보다는 경계 반응이나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가능성이 큽니다. 강아지가 자신의 공간을 보호하려는 본능, 낮은 수준의 사회화, 혹은 과거의 부정적 경험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적 건강 상태, 특히 청력이나 시력에 문제가 있거나 통증을 느끼는 경우에도 이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수의사 검진을 통해 건강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긍정적 강화 방법으로 강아지가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하고, 명확하고 일관된 신호를 통해 신뢰를 형성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