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마음소통 아동전문가 천지연 입니다.

천지연 전문가
어울누리
Q.  아침마다 떼쓰는아이어케달랠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아침마다 어린이집에 가기 싫다 라고 떼를 쓰면서 우는 이유는 분명 이유는 있을 것입니다.아이가 어린이집에 가기 싫다 라고 떼를 쓰면서 운다면 단호함으로 어린이집게 가기 싫다 라고 해서 울거나 떼를 부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하고,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알려주면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고자 할 때는 울거나 떼를 부리지않고 언어로 조곤조곤 전달을 해야 함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그리고 아이에게 왜 어린이집에 가기 싫은지 그 이유를 물어보고, 아이의 이야기의 귀를 기울여 경청을 해주면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아이의 이야기를 통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을 한 후,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주는 것도 필요로 합니다.또한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하여 아이가 원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가정 + 원이 잘 연계하여 아이의 원 적응에 도움을 주면 좋을 것 같네요.
Q.  선행학습의 최종 목적은 어디에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선행학습은 학교 진도에서 벗어나는 것 보담도 그날 배웠던 예습.복습 과정을 통해서 수준의 적합한 학습을 함으로써 아이가 그 문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 입니다.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아이를 다양함을 알게되고, 다양한 생각과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접급하고 다양함으로 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점진적으로 학습의 발달이 되어짐이 크겠습니다.선행학습의 목적은 그 다음 학년을 대비하는 것입니다.물론, 선행학습이 중요하긴 하지만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야 한다 라는 것입니다.아이의 스트레스 지수를 살펴 가면서 적절하게 학습의 시간을 정하고 학습을 하도록 하고, 또한 아이의 스트레스 창고도마련하여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Q.  창의성과 학습 효과를 모두 갖춘 4살 아이용 장난감 조합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의 창의성은 무궁무진한 생각을 풀어내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책을 많이 읽어주는 시간을 제공해 주는 것 그리고 아이에게 끊임없이 why 라는 질문을 던져주어 아이가 생각과 사고를 하여서 다양한 생각주머니를 열어서그 다양성을 넓게 펼쳐내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아이의 창의에 도움이 되는 것은 정적인 활동이 대표적 입니다.정적인 활동은 아이의 창의 뿐만 아니라 상상력, 뇌.인지발달(두뇌발달), 집중력, 사고력, 지구력, 탐구력, 문제해결능력,사회성. 심리적.정신적 발달 등 많은 도움이 되어지겠습니다.정적인 활동에는 앞서 언급했던 책읽기, 그림그리기 및 색칠하기, 종이접기, 다양한 보드게임, 블럭놀이, 퍼즐맞추기그리고 과학실험, 역할극, 요리활동, 신체놀이, 악기연주 등이 있겠구요.또한 몬테소리, 은물 교구도 아이의 창의성에 도움이 되어질 수 있겠습니다.
Q.  원래 부모의 양육 태도가 자녀의 정서에 큰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는 부모님의 기질적인 부분의 영향도 받지만무엇보다 부모님의 습관 즉, 가치관도 영향을 받습니다.또한 아이는 부모님의 감정.언어.태도를 유심히 관찰하고, 이러한 것들을 예민하게 받아들임으로써눈치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님의 감정 소유물이 아닙니다. 아이 또한 감정이 있습니다. 다만 그 감정을 오롯이 전달하지 못함이 클 뿐 입니다.아이에게 지나친 감정을 전달하게 되면 아이의 자신감.자존감 결여는 물론 이거니와 심리적.정신적인 부분의영향을 미쳐서 우울증을 동반하기도 하고, 일상생활.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겠습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의 감정을 조금 다스림이 필요로 하구요.무엇보다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적인 소통을 통해 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을치유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Q.  말 안 듣는 아이에게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훈육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다면 그 순간의 감정의 휩쓸여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그런데 있지요.아이를 훈육을 하기 전 가장 먼저 하셔야 할 부분이 있는데요.그것은 부모님의 화가 난 상태의 감정을 먼저 차분하게 가라앉히는 것입니다.화가 난 상태에서 아이에게 훈육을 하게 되면 그 감정이 고스란이 전달되어짐이 크고 이로 인해 아이의 마음의 상처를 입힐 수 있고, 아이 또한 상처의 흉터는 짙어질 수 있습니다.그렇기에 앞서 언급했듯 화가 난 감정이 올라오면 잠시 차분히 마음을 다스린 후, 마음이 진정되면 그때 훈육을하는 것이 좋구요.무엇보다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 하는 것이 필요로 하겠구요,아이의 입장에서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한 후에 부모님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