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침 산책과 저녁산책중 어느게 건강에 더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백요한 과학전문가입니다.아침과 저녁 시간대 중 어떤 시간대에 산책을 해야되나 고민이시군요.산책은 아침과 저녁 언제해도 좋습니다만,작성자 분께서 어떤 나이대와 삶을 사시는지 잘 모르기에,자세한 추천을 드리기 어려우나 그래도 추천드리는 시간대는 저녁먹고 난 뒤 가볍게 산책을 즐기시는게 좋습니다.산책을 통해 온몸의 혈액이 순환되고, 적절한 움직임과 근육의 수축이완동작으로 몸에 적당한 피로가 쌓이게 되어 산책후 가볍게 샤워하시고, 잠에 드시면 좋습니다.목적이 어떠하냐도 중요하지만, 매일 꾸준한 산책은 건강에도 효과적입니다.
Q. AI가 사람처럼 생각, 감정을 가진다면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인간의 존재는 필요합니다.AI도 어떤 알고리즘이 적용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예로, 현 ChatGPT의 경우 과거~2021년도까지의 데이터만 가지고 학습되었고, 이후데이터에 대한 수집, 전처리, 학습의 기능은 없습니다. 이세돌과 바둑을 두었던 알파고의 경우는 바둑이라는 범위내에서 바둑경기를 하는 도중에도 대국 데이터와 현재의 수를 계속 학습하면서 성장해 나가는 모델이었죠.AI는 사람과 비슷해 질 수는 있어도 사람을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의외성이 그것인데요. 이건 이세돌이 알파고의 대국에서 이긴것과 같습니다. 현재 만들어지는 시스템은 각 분야별로 인간의 생산성을 높이기위한 도구로서 활용되어지는 시스템, 로봇 등이 있습니다. 반복작업과 같은 간단한 작업은 인간이 하기에는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지만 로봇의 경우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이를 담당시키고 인간은 좀더 다른 관점에서 이익을 낼 수 있을 만한 인사이트를 얻는 것이죠.이상, 과학전문가였습니다.
Q. 우주에서 지구로 다이빙 하는것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다이빙을 한다는 건 중력의 영향을 받는 것 일텐데,해당 내용을 보니, 중력의 영향권 내에서 다이빙한 것으로 보입니다.또한, 몸이 타지않은 것은 우주복을 입고 있기 때문인데요,당연히 맨몸으로는 우주에 있을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한데,해당 내용을 보아하니 다이빙은 조건부로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