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순복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순복 전문가입니다.
김순복 전문가
삐아제어린이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8개월 아기 머리말릴때 드라이기 써도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드라이기를 사용할때는 전자파 때문에 아이와 최소 30센티 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을 권한다고 하는데요즘 현대 사회어서 테블릿, 핸드폰 Tv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노출 되어 있다보니 최대한 드라이기라도 신경쓰며 사용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다니는 아이가 엄마랑 계속 목욕을 같이 하겠다하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 몇 학년인지는 모르겠지만가족간 유대감을 높이는 활동 중 목욕이 있습니다.정서상 함께 목욕은 좋습니다.다만 초등학교 고학년 경우 신체와 호르몬 변화로 예민한 시기에 함께 목욕은 꼭 자녀의 의사를 반영하시길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유투브나 티비 시청 시간 얼마정도로 맞추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미디어의 노출은 현대 사회에서는 어쩔 수 없다고 봅니다.기관(학교)에도서 학습을 위한 미디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맞벌이로 인해 잠시마나 휴식을 위해 미디어에 아이들을혼자 두기보다는 조금 힘들지만 유익한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함께 시청하시는 것을 추천 합니다.함께 미디어 시청을 하면 내 아이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시간도 가질 수 있답니다.그리고 눈 건강을 위해서라도 시청 시간은 30분 내외로 장시간 미디어 노출은 하지 않도록 합니다. 시청시간도 중요하지만 미디어의 질도 중요 합니다.유투브 같이 빨리빨리 내용이 전개 되는 것 보다 이야기와 스토리가 있는 (학습적) 것을 추천합니다.(영화, 다큐, EBS 프로그램)
놀이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하는 똑같은 질문에 언제까지 답을 해주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세상을 배워 하는 시기 입니다.어른들 입장에선 같은 걸 왜 계속 묻지? 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우리 아이들은 이 세상이 마냥 신기하고 새롭답니다.귀찮다는 생각 보단 아이들 물음에 귀 기울주고 아이들의 눈 높이에 맞는 답변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그리고 질문이 많은 아이들 경우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고 다양한 응딥이 가능하도록 확장형 질문을 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8개월 아기가 어제부터 대변을 너무 자주싸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영아기의 배변은 건강과 직결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변의 횟수도 중요하지만 변의 모양 냄새로 건강의 유무를 이야기 해 볼 수 있습니다.변이 묽거나 시큼한 냄새가 나는 등 평소와 다르다면 병원 진료를 권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4세(44개월)아이 자기 의사표현을 잘안하는데 어떻게 해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성향의 이유일 수도 있고 환경적으로 의사표현이 어려울 수도 있으니 정확한 답변은 어려울 수 있지만자신의 의사표현을 한다는 것은 중요한 부분 입니다.가정에서 일상생활 중 의사표현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지도 하시길 바랍니다.예로 우유를 줄때 아이에게 어떤컵으로 먹을지 묻는 등 사소하지만 아이의 의사가 반영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아기들이 울고 떼 쓸 때 방치를 해도 괜찮은걸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자신의 의사표현을 울음으로 표현합니다.떼를 쓰고, 울기도 하면서요~가짜울음이나 무조건적인 떼쓰기엔 잠깐 침묵(외면)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침묵(외면) 한다고 자리를 이동 하면 안전상 위험할지도 모르니 아이의 눈에 보이는 곳에 있으셔야 하고기다려주면 됩니다.그리고 단호하게 울음을 그치면 이야기 들어줄것임을 알리고 기다려 줍니다. 울지마 울면 안해줄꺼야 등 강요나 협박성의 말은 삼가해 주세요.고집이 쎄고 아직 언어가 발달 되지 않은 경우 울음으로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항상 아이의 말이나 행동에 관심을 가지고 지지해주며 허용의 범위는 항상 일관성 있게 합니다.어느날은 우닌까 해주고, 어느날은 안 해주고 일관성 없는 양육방식은 지양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기저귀에서 자연스럽게 팬티 착용으로 넘어가는 좋은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기저귀 떼기는 자기조절능력이 가능할때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상 몇개월에 시작한다고는 하지만 아직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기저귀 떼기를 시작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으며 기저귀에 더 집착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때 되면 떼겠지라는 무책임한 생각보다는 아이의 기질과 특성 발달정도를 잘 체크하셔서 기저귀 떼기를 하시길 바랍니다.
유아교육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공부는 어떻게 시키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의 성향에 따라 공부법에도 차이를 둡니다.1:1 , 그룹,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한지를 눈 여겨 보시고 아이의 성향에 맞는 것을 정하시는게 좋습니다.
놀이
2023년 3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혼자 인형을 가지고 소꿉놀이, 역할놀이를 많이 하고 노는데요. 부모들이 함께 역할을 나누어 놀아도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들 경우 스스로 놀이를 만들고 놀이에 집중할 땐 옆에서 안전하게 놀이 할 수 있도록 지켜봐 주심 됩니다.아이가 놀이 참여를 원할때는 부모 주도를 지양하고 아이주도 놀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