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승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승호 전문가입니다.
이승호 전문가
햇살아동발달지원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2월 5일 작성 됨
Q.
치아 발치는 보통 집에서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치를 발치할 시기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집에서 발치할 경우 치아가 깨끗하게 발치가 안되고 뿌리가 남아있을 수 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영구치가 제대로 자라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 있기 때문에 되도록 치과에서 발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놀이
2023년 12월 5일 작성 됨
Q.
카시트에 잘 앉지 않을려고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카시트에 앉기를 꺼려하는 경우 아이가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애착물건을 이용해 카시트를 편안한공간으로 만들어 보세요.아이가 차를 타며 힘들어 할때에는 자주 쉬면서 아이의 컨디션을 살펴봐 주시고 한동안은 장거리 차를 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12월 5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아이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눈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매체 사용을 제한하고 야외활동을 하여 자연에서 눈을 쉬도록 해주세요.어두운 곳에서 작은 글씨를 보는 것도 좋지 않고 영상을 볼때에도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5일 작성 됨
Q.
아이가 성장하면서 자립심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 노하우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일은 되도록이면 스스로 해결하도록 지원해주시고 선택권을 부여하며 자기 일을 스스로 처리하도록 해보세요. 자기 책임감을 키우고 실패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독립적인 의사결정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그리고 아이를 존중해 주시고 적절한 도전과 성취 경험을 주면 더욱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5일 작성 됨
Q.
손톱을 많이 물어뜯는 아이인데 어떻게 교정해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손톱을 항상 정갈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해주세요. 지저분하거나 길면 신경이 쓰여서 더 물어 뜯게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를 너무 나무라지 마시고 손톱이 입쪽으로 갈때 자연스럽게 다른 쪽으로 신경이 가도록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3년 12월 5일 작성 됨
Q.
아이 손톱 물어뜯는 습관 어떻게 고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다른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가르치고 일정 주기로 손톱을 정리하여 매끄럽게 해주세요. 손톱이 지저분해지거나 길어지면 버릇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항상 청결하고 짧게 손톱을 관리하는 데 신경써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5일 작성 됨
Q.
26개월 아이들은 원래 짜증이 많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6개월 아이는 언어로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워 감정을 행동으로 표출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께서는 아이와 소통하여 이해하려 노력해 주시면 짜증이 덜해 질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아이와 많은 대화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놀이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보드게임은 어떤 효과가 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드게임은 아이들에게 협력, 전략,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는 등 긍정적 효과를 제공합니다. 게임을 통해 소통과 협력 능력을 배우고 패배와 승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규칙을 이해하고 적용해 간다는 것이고 그룹활동을 하며 그 안에서 협동을 배운다는 것입니다. 아이의 나이와 단계에 맞는 보드게임을 선택하시고 함께 즐겁게 경험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아기들이 통통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 시기 아기에게 체지방이 많고 통통한 것은 체온조절을 돕고 말랑말랑한 지방으로 외부 충격으로부터 아기의 장기와 뼈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발달한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아이의 나쁜말 사용은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나쁜말을 사용할 때 왜 그런 표현이 적절하지 않은지 설명해 주세요. 이 과정에서 일관된 자세가 중요합니다. 평소 부모님께서도 모범적인 언어 사용을 보여주며 부정적인 언어를 쓸때 대신에 어떻게 이야기 하는지 대안언어도 알려주시고 아이가 잘 했을때 칭찬도 충분히 해주세요.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