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의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의학 전문가입니다.
노성윤 전문가
가나요양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안과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눈이 많이 피로하고 힘들어요. 좋은 처방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눈꼽이 잘 낀다면 알러지가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인공눈물과 더불어 알레르기 안약을 같이 점안하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뇌진탕 확률이 있을까요? 뇌진탕 확률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머리에 외상이 있었는데 출혈이나 별다른 이상이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을 때 뇌진탕이라고 합니다 즉 뇌에 충격이 있었던 상태를 종합적으로 뜻합니다.우선은 머리내 CT등을 통해 출혈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외상성 뇌출혈 없다면 단순 뇌진탕으로 진단 가능합니다. 현재 통증과 수면장애등이 있고 오심 및 구토도 있으시므로 검사는 해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피부과
2023년 9월 19일 작성 됨
Q.
코랑 목 주위에 벌겋게 뭐가 났는데요??
안녕하세요. 사진이 있으면 판단이 용이하겠지만 우선 말씀해주신 내용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만 코랑 목 주위에 동시에 발적을 일으켰다면 알러지나 전반적인 피부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세한 것은 피부과 진료를 보시고 약을 처방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심장으로가는 혈액 공급이 멈추는 것입니다.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등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혈전등에 의해서 혈관이 막히게 되면 심근 경색이 발생하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잠을 자는 동안에 오줌이 마려우면 몸에 문제가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소변때문에 잠에서 깨는 증상은 야간뇨라고 부르며 방광이나 전립선, 요도 등 비뇨기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흔히 발생하는 증상에 해당합니다. 상기증상 관련해서는 산부인과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내과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건강검진할때 금식하는데 물도 마시면 안될까요??
안녕하세요. 어떤 건강검진을 하시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단순 피검사를 위한 금식이라면 물은 드셔도 될 수 있으나 수면마취나 내시경등을 시행하신다면 물도 드시면 안됩니다.병원 검사 항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원래는 물을 포함하여 다 금식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비뇨의학과
2023년 9월 18일 작성 됨
Q.
방광염 항생제 몇일정도 복용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정해진 기간이 있지는 않고 방광염이 호전될 때 까지 복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보통 3~5일정도 기본적으로 처방하는데 이후에도 증상이 남아있다면 3~5일정도 추가로 처방받아 복용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비뇨의학과
2023년 9월 17일 작성 됨
Q.
혈압이 128, 77인데 혈압약 먹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혈압만으로 결정하지 않고 다른 전신 건강상태와 지병, 연령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겠지만현재 혈압은 굳이 약을 복용할 정도의 혈압은 아닙니다.조금 더 경과관찰 하시고 식이조절과 운동등을 병행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9월 17일 작성 됨
Q.
귀에서 물이 나오는데 왜 이런거죠?
안녕하세요. 외이도 진균증 등이 있는 경우 귀에서 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항진균제 치료등이 필요할 수 있어 이비인후과 진료를 권유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과
2023년 9월 16일 작성 됨
Q.
안구 건조증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가습기를 틀거나 방안이 건조하지 않으면 안구건조증도 상대적으로 덜하게 됩니다. 안구건조증은 아직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지는 못하였으나 자가면역반응의 일종으로 보고 있는 만큼 안약으로의 치료 및 증상 조절이 가장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