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방송보니 유상증자 무상증자 라고하는데 정확한뜻과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상증자와 무상증자 모두 주식 발행을 통해서 기업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을 뜻 하나, 목적 등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1)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시설투자, 운영자금 등 기업이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 주식 발행을 통해서 자금을 조달하고자 하는 것 입니다. 유상증자의 경우는 기존 주주 혹은 외부 투자자에게 돈을 받고 주식을 부여하게 됩니다. 이때 시장가격대비 할인된 가격으로 발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존주주의 평가가치가 훼손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2) 무상증자: 유상증자와는 다르게 무상으로 주주들에게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뜻 합니다. 이는 그동안 쌓아둔 이익잉여금을 기업의 자본금으로 편입시키는 것으로 외부자금 조달 없이 자본금을 확장하는 것을 뜻 합니다. 따라서 무상증자닌 주주환원의 성격이 강합니다.
Q. 인플/디플/스테그플레이션의 차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테그플레이션은 물가 상황을 설명하는 경제 용어입니다.1) 인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상황을 뜻 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황일 때 나타납니다.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소비를 자극하여 경기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소비를 위축시킵니다.2) 디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제상황을 뜻 합니다. 소비자들에개 물가가 하락한다라는 심리가 자리잡으면 소비를 지속적으로 지연하게 되면서 기업들의 수익이 감소하게 됩니다. 그리고 고용, 투자 축소로 이어지면서 경기 침체가 발생하게 됩니다.3) 스테그플레이션: 경기가 침체국면임에도 물가가 상승하는 경제상화을 뜻 합니다. 이는 소비의 감소보다는 전쟁, 자연재해 등의 돌발적 사건으로 인하어 공급측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합니다.
Q. 매크로 지표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매크로 지표의 중요도는 그때 그때 경제 상황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만, 일반적으로 "물가지표" 및 "고용지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경제 뉴스 등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미국 연준은 물가와 고용 상황에 따라서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통화 정책은, 자산시장은 물론 실물경제 전망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체크해주어야 하는 지표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