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헝다그룹 발 부동산 위기 국내 영향은 무었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에서 부동산관련 산업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따라서 헝다와 같은 큰 부동산 기업이 파산을 하게 된다면, 중국 전체 경제를 위축시킬 수 있는 사건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한국은 중국과의 무역량이 많은 국가 중 하나인데, 중국에서의 수요가 감소한다면, 한국의 수출량이 감소하여 한국 경제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Q. 1980년대 일본 경제 대 호황시기에서 갑자기 일본 경제가 나빠진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980년대 초 일본 경제가 급격히 나빠진 이유는 "버블 경제 붕괴"입니다. 이는 일본의 경제성장이 지나치게 빠르고 불안정한 투자와 부동산 시장의 폭발적인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 현상입니다. 1980년대 초반은 일본 경제가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일본 경제의 최전성기 시절이었습니다. 하지만 플라자합의 후 엔화 가치가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수출둔화 등을 우려한 일본 정부는 내수 경기 부양에 집중하였고, 저금리 정책과 부동산 정책을 완화하였습니다. 이 기간 동안 너무 높은 투자와 부동산 가격 상승이 일어나면서 버블이 형성되었습니다. 이 버블은 실질적인 경제 성장보다는 투기적 요소에 의해 경제가 팽창되었습니다.1989년에는 버블이 붕괴되면서 주식 시장과 부동산 시장이 대폭 하락하였고, 많은 기업들이 파산하거나 경영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로 인해 일본 경제는 급격한 하락세에 접어들었고, 장기적인 불확실성과 디플레이션 경향이 이어졌습니다. 이후 일본은 버블 경제 붕괴의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 구조조정과 정책 개혁을 시행하며 경제를 회복시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Q. 주식 미수거래라는 건 어떻게 하는걸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 미수거래란 주식 매수시 일정한 비율의 증거금을 납입하여 매수하는 주식 거래를 뜻합니다. 주식 종목마다 증거금비율이 다르며, 어떤 주식종목은 증거금율이 40%인 경우도 있고, 어떤 종목은 100%인 경우도 있습니다. 즉, 주식 증거금율이 100%라는 것은 주식 매수 대금의 100%를 모두 납입해야 한다는 것이고, 반면에 주식 증거금율이 40%라는 것은 10000원짜리 주식 매수 시 당일 결제되는 금액은 4000원이라는 것입니다.주식 미수거래는 이렇게 증거금율에 따라 주식 매수에 대한 증거금만 내고 끝내는 것이 아닙니다. 주식 거래증거금을 내고 일정한 기한안에 나머지 대금을 결제해야 주식 매수가 완전히 체결 됩니다. 현재는 이 주식 매수/매도에 대한 완전 체결 시점이 자신이 산 날짜로 부터 2일 후 (D+2)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