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앞으로 금리 인하가 오게 되면 경제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하하는 이유는 경제가 침체되었거나, 금융위기 등이 발생하여 자산 시장 및 실물 경제다 좋지 않은 경우에, 이를 보호하고자 하는 것 입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가 필요한 시점이 온다면, 경기가 침체가 되었거나, 20년도 코로나 위기 때 처럼 예기치 못한 사건이 발생하여, 금융 및 실물 경제가 크게 흔들리는 상황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Q. 좋고 나쁨의 판단 할 수있는 지표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상장회사에 대한 투자 의사결정을 할 때 중요한 지표는 많지만, 다음 세 가지 지표는 일반적으로 주목해야 할 핵심 지표입니다.1)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순이익을 평균 자기자본으로 나눈 지표로,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성을 측정합니다. 높은 ROE는 효과적인 자본 운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2) 부채비율 (Debt-to-Equity Ratio): 부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지표로, 회사의 부채 상환 능력을 판단합니다. 낮은 부채비율은 재무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3) 주가수익비율 (Price-to-Earnings Ratio, P/E Ratio):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로,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대해 평가된 비율입니다. 낮은 P/E 비율은 저평가를 나타낼 수 있으나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Q. 주식차트 볼때 보조지표 간단하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차트 분석을 돕는 두 가지 유용한 보조지표는 이동평균과 상대강도지수(RSI)입니다. 이동평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계산하여 추세를 확인하는데 사용됩니다. 주식의 가격 변동을 부드럽게 나타내며, 단기 및 장기 추세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상대강도지수(RSI)는 가격의 상승과 하락 폭을 비교하여 주식의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주가의 상승과 하락이 균형을 유지하면 RSI 값은 50 근처에 위치하며, 70을 넘으면 과매수, 30 미만이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됩니다. RSI 값은 주가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추세의 전환점을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Q. 주식에서 반대매매란 무엇이고, 왜 일어나게 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반대매매는 증권사가 갚을 능력이 없다고 판단이 될 때 강제로 매각해 버리게 되면서 발생합니다. 주식시장에서 반대매매라는 것은 주식을 매매할 시 주식 매수에 대한 증거금이 모자란다면 증권사의 자금을 빌려서 주식을 매입하게 되는데, 만약 주가가 하락하게 되어 자금을 빌려준 증권사가 손해를 보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해당 증권사는 고객의 동의 없이 고객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매도를 하게 되는데, 이렇게 "신용으로 매수한 주식의 가격하락에 따른 증권사의 임의 매도"가 반대매매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반대매매는 신용미수를 사용하거나 선물거래를 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며 증권사는 반대매매를 통해서 고객에게 빌려줬던 자금을 회수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