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럽이나 미국등 서구권에서 BNPL 즉 후불결제 방식이 크게 성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유럽과 서구권에서 BNPL(후불결제) 방식이 크게 성장하는 이유는 전자상거래 시장의 확대, 젊은 소비층의 디지털 결제 선호, 무이자•투명한 할부 구조, 신용 카드 대비 낮은 진입장벽, 생활비 상승에 따른 단기 유동성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패션, 전자제품 등 고가 상품도 부담 없이 그매할 수 있고, 간편•빠른 결제 경험이 대중화되면서 BNPL 서비스가 온라인•오프라인 전 채널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Q. 근데 관세를 높이는데 금리인하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관세를 높이면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가 올라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금리 인하에 더 신중해집니다. 일부 경기 둔화나 고용 불안이 동반 될 때 한시적 금리 인하 논의가 나올 수 있지만, 관세 인상으로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늨 금리 인하가 당장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미국과 한국 모두 최근 관세 인상으로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는 금리 인하가 당장 쉽지 않습니다. 관세가 장기화되면 경기 둔화를 이유로 금리 인하가 뒤따를 수 있지만, 당장은 관세 인상이 오히려 금리 인하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
Q. 세제개편 어떤 부분이 실망스러운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어제 코스피가 크게 하락한 것은 정부의 세제개편안에서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이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대폭 강화되고, 배당소득 분리과세의 요건 및 최고 세율이 시장 기대보다 훨씬 엄격하게 책정된 데 따른 실망감 때문입니다. 투자자들은 대주주 기준 하향이 연망 대량 매도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와,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35% 고율, 한시적 적용에 머문 점, 증시부양책과 불일치한 과세 반향에 실망해 대거 매도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