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역 균형 발전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지역 균형 발전 정책은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지방 경제를 활성화함으로써, 국가 전체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경제적으로 지방경제 활성화, 수도권 비효율 완화의 효과와,사회적으로 격차완화, 인구분산의 효과환경적으로 수도권 부담완화, 지속 가능성의 효과가 대표적입니다. 다만, 정책의 성공 여부는 장기적인 일관성, 지방의 경쟁력 강화, 수도권과의 조화로운 발전전략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사례로 볼 때세종, 부산, 대구 등의 10개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지역결제 활성화를 이끌고 있으며 25년에는 민간기업유치를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2024년 기준 약 1조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어 지방에 투자하는 기업에 세제 혜택과 보즈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등 지방 광역권을 통합해 경제규모를 키우는 메가시티 프로젝트을 진행중이고 이는 지방 경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Q. 지연손해금 계산하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계산은 맞는데 51,858,144원 + 426,231 = 52,284,375원에서 다시 일자별 이자를 상환하는 방법은 틀렸습니다.이유는 24년 2월 25일의 1,300,000원을 상환한 금액을 반영해야 합니다. 이 금액도 이자에서 상환에 충당해야 합니다. 즉 2우러 25일 까지의 이자 = 426,231원상환원금 =1,300,000원이자 상환후 남은 상환액 = 1,300,000원 - 426,231원 = 873,769원 상환전 원금 = 50,691,675원원금상환후 = 50,691,675원 - 873,769원 = 49,817,906원 추후 상환예) 24년 3월 31일 가정기간 : 2월 26일 ~ 3월 31일 = 34일이자 ; 49,817,906원 × 0.12 × 34 / 365 = 557,153원총채무 : 49,817,906원 + 557,153원 = 50,375,059원핵심 : 상환순서는 " 이자상환 --> 원금상환 " 입니다.
Q. 경제에서 GDP와 PPP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GDP는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절대적인 시장 가치로 측정하며, 주로 국제무역, 투자, 경제 성장률 분석 등에 사용됩니다. PPT는 물가와 구매력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생활 수준과 소비능력을 비교하는 데 용하며, 특히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경제력을 보다 공정하게 평가할 때 적합합니다. 두지표는 상호 보완적으로 분석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로 어느 나라가 더 부유해? 라는 질문에는 PPP 가 어느나라 경제가 더 큰 영향력을 갖고 있어? 라는 질문에는 GDP 가 더 적합니다.
Q. 등배계수와 기하급수를 쉽게 설명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종자돈을 먼저 설명해야 할듯합니다. 종자돈은 씨앗과 같아, 씨앗을 땅에 심으면 물을 주고 햇빛을 주면서 점점 나무로 자라지? 그렇게 씨앗을 나무가 되고 나무에 열매가 열리면 열매에서 또 새로운 씨앗이 생겨서 더 많은 나무가 생기는 거야, 돈도 만찬가지야...기하급수의 용어작은 돈이라도 잘 키우면 엄처나게 커질 수 있어.... 이걸 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하급수라는 개념이야...마치 종이를 한장 을 반으로 접으면 두께가 2배가 되고, 이걸 또 반으로 접으면 4배, 또 접으면 8배가 되는 거야.... 결국 계속 접을수록 엄청나게 켜저서 달까지 닿을 수 도 있어, 이게 기하급수야..등배계수(=복리)의 용어 등배계수는 기하급수에서 숫자가 커지는 배수를 의미합니다. 저금통에 1만원을 넣었어. 그리고 매일 저금한 돈이 2배로 커진다고 해 가정하면.... 이 2배라는 것이 등배계수야. 등배ㅖ수는 숫자가 얼마나 빨리 커질지를 결정하는 거야.. 만일 등배계수가 3배라면 첫날 1천원, 둘짜날은 3천원, 세째날은 9천원이 되지...
Q. 새마을금고 적금 이자 얼마나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예금의 만기에 대한 명시가 없네요.. 1년으로 가정하고 만기에 예상되는 이자를 산출해 보겠습니다. 1년만기 가정원금(총납입액) : 500,000원 * 12개월 = 6,000,000원이자(월단위 기간별로 발생하고 월복리가 아님) : 23년도 3월 불입 = 500,000원 × 4.3% × 11(남은개월수) /12(총개월수) = 19,708원23년도 4월 불입 =500,000원 × 4.3% × 10(남은개월수) /12(총개월수) = 17,917원...이렇게 1년만기까지 계산하면 만기 수령시 원금 6,000,000원 + 이자 118,250원 = 6,118,250원 수령여기서 이자소득세 15.4% 가 있으니 이자소득세를 빼면= 총 수령액은 6,100,040원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