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영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전문가입니다.

이영민 전문가
서울아산병원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손바닥 혈관 맥박 뛰는게 보이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손바닥 피부가 얇으신 분들의 경우 해당 부위에서 맥박이 뛰는 것이 약하게 관찰되기도 하며 정상적인 반응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아울러 동맥기형의 경우 육안상만으로는 판단이 어려워 만일 의심이 된다 하더라도 영상검사를 통해 확인을 하게 되므로, 특이 증상이 없다면 우선 경과관찰 하셔도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걱정이 되신다면 근처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최근 흡연량을 늘린 후로 귀 앞,아래 에서 턱과 어금니, 목구멍 안쪽부근으로 이어지는 통증이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현재 증상이 비특이적인 증상이라 흡연때문이라는 명확한 가능성을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증상만으로는 잇몸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주염이나 치주의 감염증으로 인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보통 말씀하신 흡연량의 증가로 발생 위험도가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금연 상태를 유지하시는 것이 좋겠으며, 치과를 방문하셔서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질문자님의 쾌유를 기원드립니다.감사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총단백정량 수치 낮음, LDL 수치 높음, 요소질소 수치 높음 질문 드립니다.(재질문)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위의 질문 내용을 토대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질문1) 말씀하신 것처럼 탄수화물 제한 및 단백질 과다 섭취가 총단백정량 수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변을 통해 질소가 배출이 과다하게 되면서 단백질 대사와 연관된 지표에 영향을 미치고 혈액 내 총단백질정량 수치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단백질 섭취가 과다하게 되더라도 흡수가 체내에서 적절히 되지 않거나 대사가 안되어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질문2) 알부민은 총단백질 구성 성분 중 하나라서 총단백질정량보다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질문3) 단백질 과다 섭취로 인해 체내에서는 단백질이 대사되어 질소라는 부산 산물이 나오게 됩니다. 이 때문에 요소질소수치가 높게 형성이 되며 총단백질정량이 낮은 이유는 질문1에서 설명드린 이유로 낮을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질문4) 결국엔 질문자님의 경우 단백질의 섭취량을 무작정 늘린다기 보다는 적절한 단백질의 흡수를 도와줄 수 있는 식단 구성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선은 현재 식단 구성이 중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의 구성 비율을 보시고 이를 적절히 맞춰서 섭취해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고, 단백질 소화를 돕는 프로바이오틱스 등을 소량 사용해 보는 것 또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식이에 대해서는 위 결과를 받으신 병원에 다시한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겟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단백뇨 혈뇨 빈혈 당뇨전단계까지 나왔는데 병원 진료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현재 질문자님의 검사 결과디로 보았을 때 아래 사진에서 Iron(저장철)이 18으로 낮고 TIBC(철결합능력)가 479로 정상치보다 높은 점 및 Hb(헤모글로빈) 수치가 9.9로 낮은 점 등은 철 결핍성 빈혈 (IDA)에 준하는 소견으로 보입니다. 보통 철분의 부족으로 발생하며, 헤모글로빈 내의 철 결합 능력은 정상치 보다 올라가 있지만 실제 철분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빈혈로 철분제 복용을 통해 교정을 시도해 볼 수 잇습니다.이외 Glucose (당 수치)가 공복시에 123이 나온 경우라면 100~125 사이 일 때의 당뇨전단계의 진단에 부합하여 식이 조절 등을 통해 관리를 하셔야 할 수 있으며 기존에 먹고 있는 뇌혈관약, 십이지장 궤양약이 단백뇨 혈뇨랑 관련이 있는지는 정확한 약 성분을 토대로 판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답변에 제한이 있습니다.아울러 몸의 붓기 등이 동반되신다면 신장의 이상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신장내과에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질문자님의 빠른 쾌유를 기원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안과
안과 이미지
Q.  한쪽 눈 원시, 한쪽 눈 근시인데 근시 컬러렌즈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한쪽만 도수가 있는 렌즈를 착용하는 것은 원래는 큰 문제가 있지는 않으나, 원시인 눈 쪽을 도수가 없는 컬러렌즈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가까운 물체를 보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안을 다 사용하여 가까운 물체를 볼 때에 초점이 잘 안 맞춰저 눈의 피로도가 올라갈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해당 사항에 대해서는 안과에서 진료를 보신 후에 사용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비뇨의학과
비뇨의학과 이미지
Q.  성관계 이후 이렇게 됬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처음 성관계를 하기 시작하는 경우 포피의 자극으로 인하여 따가움을 느끼는 포경 상태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성병은 아닙니다. 특히 성관계 후에 피부가 건조해 지면서 귀두 밑에 이물질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상태에서는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귀두와 포피 부위를 깨끗히 세척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사진이 흐려서 귀두 부위의 정확한 병변이 보이지는 않으며 약간 발적이 생긴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전형적인 성병 양상은 아닌 것으로 생각되오나, 따가운 증상이 심하다면 혹시 모를 성병의 가능성으로 근처 보건소나 비뇨의학과 병원에 방문하셔서 진찰 후에 성병 검사 유무를 결정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겟스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기침할때 왼쪽 갈비뼈 안쪽 통증 원인?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기침 시 가슴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습니다만 질문자님의 글을 볼 때에는 야구 스윙을 과도하게 하면서 상체의 근육에 부담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어보이며, 특히 갈비뼈 사이의 늑간근이나 횡격막과 같은 막에 긴장이 가해지면서 기침을 할 때 자극이 되면서 통증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징, 그리고 가벼운 온찜질을 통해서 증상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겠으나, 만일 증상이 지속된다면 근처 병원에 가셔서 적절한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설사를 할때마다 변에 이런 빨간 고춧가루..? 같은 물질이 엄청 떠다녀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사진 상의 상기 상태로 보아 전형적인 혈변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보통 혈변이라고 하면 선홍색 피가 묻어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위의 사진과 같이 고춧가루처럼 보이는 물질이 여러개 나오는 상황이라면 최근에 드시는 음식 중에 위와 같은 색의 음식물이 있는지 생각해 보셔야 할 것으로 보이며, 파프리카나 토마토와 같은 음식물의 부산물이 소화되지 않아 설사 형태에 섞여 나올 수 있겠습니다.다만 만일 어지럼증이 동반되는 경우라면 만에 하나 혈변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병원에 방문하셔서 내시경 등의 검사를 고려해 봐야할 수 있겠습니다.질문자님의 쾌유를 기원드리며,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너무 아픈 딱지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해당 부위의 상처로 인하여 불편감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아프고 갈라지는 경우에는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하면서 물로 부드럽게 씩고 상처부위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습윤 드레싱을 적용하면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만일 발적이 생기거나 발열 등의 감염 증상이 있을 시에는 항생제 연고를 사용하면서 감염 예방을 해야 하며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적극적인 진통제 사용이나 손가락을 보호해 주기 위해 얼음 찜질 등을 해주면 일부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질문자님의 회복을 기원드립니다.감사합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경구피임약 장기간 복용하면 유두가 꺼매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일부 경구피임약의 경우 장기간 복용시에 호르몬의 변화를 유발시켜서 유두 색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으로 인해 피부 색깔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자극하여 유두 부위의 색소 침착을 통해 색이 더 진해지는 현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건강상의 문제가 되는 부분은 아니긴 하며 경구피임약을 중단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색깔이 원래대로 돌아오기도 하나, 색 변화가 지속되면 피부과나 산부인과 병원에 가셔서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