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소비심리가 얼어 붙고 있다고 하는데요. 식당과 마트가 동시에 감소한것이 이례적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소비심리가 얼어붙고 있다는 것에 동감합니다. 보통 소비심리중 식당에 대한 외식 비중이 조금씩 줄어들텐데, 마트에 대한 비중에 줄었다는 것은 그 심리가 극심하다는 것을의미하는 것으로 되돌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심리가 상품권 지급 등으로 1회성 심리가 될 것이 아닌, 장기적인 소비자들의 심리가 풀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심리가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결국 24년 년말부터 있었떤 문제나, 실업자의 증가 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이스라엘은 어렸을때부터 밥상머리에서 경제관념을 알려준다고 하는데요. 어떤것을 알려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밥먹을때 뿐 아니라 시간이 날때,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아이들이 경제관념에 대해 습득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주는 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많은 사람들은 경제에 해박하며, 중세시대때부터 관련 업종이나 분야에 종사하며 다양한 경험등을 통해 자신들이 어떻게 하면 힘을 기를 수 있는지를 체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단 부유하지 않으면 군사력도 기를 수 없고, 땅도 구할 수 없다는 기본마인드 아래 억척과 같은 힘든 상황에서 버티면서 성장했다고 봅니다. 그결과로 지금의 이스라엘이라는 나라를 새로 일으켰다고 볼 수 ㅇ있을 것 같ㄴ습니다. 우리나라도 가족들이 식사를 할떄 같이 밥먹으면서 이야기를 하는 것을 통해 조금씩 경제이야기를 해주거나 아이수준에 맞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해서 경제지식을 쌓게 해주는 것이 좋겠습ㄴ디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