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정거장'에서는 산소를 어떻게 공급받나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정거장의 연구원들은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생존환경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우주선에 내장되어 있으며, 주로 수소와 산소로 구성된 물을 분해하여 산소를 생산하거나, 지구로부터 산소를 보내는 보급선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주복에는 산소 탱크가 장착되어 있어 비상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토끼도 당근을 먹으면 배탈이 날수도 있다고 하던데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토끼가 당근을 먹다가 배탈이 날 수 있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로, 당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소화곤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당근은 섬유질이 풍부하고 소화하기 어려운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과도한 섭취는 소화기계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둘째로, 당근에 포함된 화학물질이나 미생물에 알러지가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알러지 반응은 토끼의 소화기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배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 당근이 오래된 경우 또는 부패한 경우에는 소화기계에 부담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배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토끼가 당근을 먹다가 배탈이 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적당량의 당근을 먹는 것이 토끼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오히려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목성의 위성 이오에서 화산이 폭발했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 폭발로 마그마가 지상으로 분출될 때, 일부는 우주로 퍼져 나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별똥별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별똥별, 또는 유성,는 우주 공간을 진행하던 작은 천체가 지구의 대기에 진입하여 마찰로 인해 열화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대부분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지는 소형 천체들이며, 화산 폭발로 퍼져 나간 마그마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화산 폭발로 퍼져 나간 마그마는 우주 공간에서 일종의 우주 화산 활동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이는 별똥별과는 별개의 현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에서 보는 지구의 모습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의 관측자 위치와 시간에 따라 지구의 모양은 변합니다. 이것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이 결합된 결과입니다.만약 달의 표면에서 지구를 관측할 수 있다면, 달의 시간과 계절에 따라 지구의 모습이 변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달의 반대편에 지구가 위치해 있을 때는 만월(보름달)이 보일 것이며, 이때는 지구가 달의 가장 밝은 부분을 바라보게 됩니다. 그러나 지구와 달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면, 지구의 모습도 변하게 됩니다. 달의 일부분만 비추이는 하현달 혹은 신현달의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달의 관측자가 지구의 적도 근처에 위치할 경우 지구의 모양은 달의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서로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의 관측자 위치와 시간에 따라 지구의 모습이 변화함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