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석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전문가입니다.
김석진 전문가
기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겨울치고 따뜻한 날씨의 원인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본격적인 겨울을 앞두고 이상 고온 현상이 벌어진 이유로는 '북극진동'이 찬 공기를 북극에 가둬 찬 공기가 한반도로 들어오지 못하는 점이 꼽힙니다.북극진동은 북극을 뒤덮은 찬 공기의 극소용돌이가 수일에서 수십일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이죠
생물·생명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식물 잎 색상은 왜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세포에는 액포라는 세포소기관이 있는데 이 속에 안토시아닌이 있습니다. 이 안토시아닌은 포도당이 햇빛을 받으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햇빛을 많이 받는 잎들은 안토시아닌이 많이 만들어질 수 있어서 햇빛에 많이 노출될수록 붉은색을 많이 띄게 되죠.또한 물이 부족할 경우 일반적으로 잎은 떨어지기 전에 노란색으로 변합니다.식물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물을 절약하기 위해 잎을 떨어 뜨려 증산작용 (식물이 땀을 흘리는 방식)을 방지하려고 하기 때문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바다에만 파도가 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가 계속 출렁거리는 이유는 바람과 지진, 기조력 등에 의해 움직인 바다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다시 지구중심 방향으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입니다. 지속적으로 위로 움직이는 바람, 지진, 기조력 등의 힘에 의해 바닷물이 출렁이게 되고 파도가 생기는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외계행성은 어떤 방법으로 찾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습니다.행성이 우연히 별 앞을 지날 때 별의 광도가 변화하는 것을 정밀 분석하는 방법이 있고,전파신호를 주기적으로 내는 천체인 펄사의 신호주기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그리고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스펙트럼을 측정으로 적색편이와 청색편이 관찰)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연이 하늘에 날릴 수 있는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연날리기는 연의 윗면과 아랫면을 바람이 동시에 지날 때 윗면을 흐르는 바람의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감소하는 원리로 하늘로 뜨게 됩니다.이것을 베르누이의 정리라고 하는데, 이때 연의 윗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아랫면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작기 때문에 연이 위로 올라가게 되는 거죠.
461
462
463
464
4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