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석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전문가입니다.
김석진 전문가
기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기계공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손이 차가울 때 뜨거운 물 관련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손 등이 차가운 환경에 오랜시간 노출될때 급격한 온도변화가 일어나면 오히려 부작용이 클 수 있습니다.갑자기 불을 쬐거나 뜨거운 물에 담그면 얼었던 부위가 급작스럽게 녹으며 혈관 벽을 손상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토목공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컵라면이 봉지라면 보다 빨리 익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컵라면은 일반 라면보다 전분 함량이 높습니다. 전분은 뜨거운 물에 쉽게 녹는 성질이 있어서 컵라면을 더 빨리 익게 만들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수압으로 돌을 자르는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워터제트 라고 하는 설비입니다. 초고압의 물을 사파이어 등 강한 소재로 만든 아주 작은 구멍의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소재를 가공하는 가공 방법입니다. 초고압수에 연마재(GARNET)를 노즐 내부에서 혼합하여 분사하면서 절단 능력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요즘 한겨울인데도 모기가 있어서 전기채를 사용중인데..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파리채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순간적으로 방전하는 역할을 하는 콘덴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보통 223J 2KV 짜리 입니다. 즉 전기모기채에 걸리는 전압은 2000V 입니다. 가정에서의 전압이 220V 이므로 약 10배 정도의 전압 입니다. 하지만 전류는 매우 낮기 때문에 만져도 사망하거나 하지는 않을 것 입니다. 다만 따갑고 때에 따라서는 화상을 입을 수도 있겠죠. 아무튼 전류가 낮다고 절대 만지면 안됩니다. 전압이 워낙 높으니까요. 특히 아이들이 있는 집에서는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원을 끄더라도 콘덴서의 전류는 몇 초 정도 남아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인공눈 제조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말씀하신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의 경우 보통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공눈이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이 성분은 백색의 가루로 점성이 크고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물을 부었을때 이를 모두 흡수하면서 가루자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눈과 비슷한 촉감을 갖게 됩니다.보통 제설기로 인공눈을 만드는 원리는 고압의 공기와 물방울을 함께 외부로 분출하여, 고압 상태로 있던 물방울들이 저압상태로 나오게 되면서 급격히 팽창하며 열을 빼앗겨 얼음으로 변하는 원리는 이용하는 것입니다.
491
492
493
494
4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