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Q.  우리나라에도 과거에 아이에게 지금처럼 우유를 먹이기도 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유는 예전 부터 아무나 마실 수 있는 음식이 아니였습니다. 고려시대 우왕은 '우유소'라는 국가 상설기관을 설치해 왕실과 귀족이 마실 수 있는 우유를 생산했다고 합니다. 이는 조선시대에 와서 '타락색'으로 이름을 바꿨다고 합니다. 젖소가 처음 도입된 것은 100년 정도 밖에 안됩니다. 1902년으로서 한말 농상공부 기사로 근무하던 프랑스인 쇼트가 젖소를 들여와 목장을 시작한 것이 한국낙농의 시초인데 그후 젖소는 해마다 증가하여 1913년에 전체 젖소는 678두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1924년 목장에서 생산된 우유를 끓여 판매하였으며, 1937년 시유가 산업적 으로 최초 생산되었다고 합니다.
Q.  쾌지나 징징나네 라는 말은 언제 무슨 뜻으로 부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가토가 이끄는 왜적 무리들이 패퇴하는 장면을 지켜본 우리 병사들이 "쾌재라 (좋구나) 청정 (淸正)이 나가네"라며 환호를 지른 데서 유래됐다는 것 입니다. 이후 `쾌재라 청정이 나가네'라는 말은 오랜 세월이 흐르는 과정에서 표현이 조금씩 달라지면서 오늘날의 `쾌지나 칭칭나네'로 굳어지게 됐다고 합니다.
Q.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의 각 국가의 젓가락의 길이가 다른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원형 테이블 형태로 둘러 앉아 음식을 먹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멀리 떨어진 음식을 먹기 위해서 젓가락 길이가 길었고 한국은 다양한 발효된 음식과 밥을 고려할 때 중간 길이의 젓가락을 사용합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인 김치의 경우 김치를 먹을 때는 밥과 함께 섭취하며, 이를 위해서는 너무 길지도 짧지도 않은 중간 길이의 젓가락이 가장 적합해 보입니다. 중국처럼 긴 젓가락으로 밥과 반찬을 입으로 가져가는 건 묘기에 가까운 일이고 일본처럼 짧은 젓가락은 사용이 쉬워 보이지만 우리에겐 숟가락 문화가 있기에 일본과 같은 짧은 젓가락은 그 기능을 숟가락이 대신한다고 합니다.
Q.  의료 분야 중에 한의학은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학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에서 한의학은 대체의학 또는 대체요법의 일종으로 여겨지며 이는 한국에서 한의학이 의료법상 대체의학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과 대비되는데 한국에서 한의학은 중국의 중의학, 일본의 한방 의학처럼 현대 의학과 병행하여 주류 의학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특징입니다.
Q.  동양에서 색채화가 발달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동양에서는 유채화가 아닌 수묵화가 발달 했는데 먹색만으로 모든 색채의 효과를 나타내는 기법입니다. 주요 소재로는 산수, 인물, 수석, 화조, 영모, 사군자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중국 수묵화의 주요 양식이 모두 등장 하는데 섬세한 선으로 동양의 미를 표현하는 큰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3613623633643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