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노래를 잘한다는 객관적으로 어떻게 평가할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래를 잘 하는 사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감정부터, 밴딩의 횟수, 바이브레이션, 음정과 박자, 톤 등 모든 부분을 상대방이 원하는 방향에서 자유롭게 불러줄 수 있다면, 그만큼 발성,음정,박자에 대한 감각이 좋다는 뜻이고, 이러한 사람이 노래를 잘부르는 사람이라고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Q. 발군의 실력이라는 말에서 발군이란 무슨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럿 가운데에서 특별히 뛰어남. 발군의 성적. 발군의 실력. 발군의 공적입니다. 발군은 한자어 입니다. 예문) 그 학생은 여러 학생 가운데 발군의 성적을 보였다. 拔: 뽑을 발. 群: 무리 군. '拔 (발)'은 뽑다, 빼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群 (군)'은 무리, 떼, 동아리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한자가 결합되어 '발군'이라는 단어가 완성되며, 여럿 가운데서 빼어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Q. 사물 놀이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물놀이는 사물(四物)이란 불교의식에 사용되던 악기인 법고(法鼓)·운판(雲板)·목어(木魚)·범종(梵鐘)을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뒤에 범패(梵唄)의 바깥채비 소리에 쓰이는 태평소·징·북·목탁을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었는데 그리고 다시 절 걸립패의 꽹과리·징·장구·북을 가리키는 말로 전용되어 오늘에 이른다고 합니다. 사물(꽹과리, 징, 장구, 북)을 중심으로 연주하는 풍물에서 취한 가락을 토대로 발전시킨 계열의 국악이며, 1978년 2월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간사랑에서 김용배가 제안 구성하고 심우성이 이름을 지어 제안한 《사물놀이》 풍물패에서 연주를 한 것이 사물놀이의 시작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