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춘분에 나이떡을 먹는 풍습은 언제부터 시작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이떡은 송편과 유사한 모양새를 하고 있는데요, 무엇보다 온 식구가 모여 앉아서 자신의 나이 수대로 먹는 것이 특징입니다. 나이떡은 음력 2월 1일에 먹었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춘분이 음력 2월 1일과 비슷한 시기여서 춘분에도 즐겨 먹었다고 합니다.‘나이떡 먹기’ 풍속은 농사의 시작과 함께 농사에 꼭 필요한 일꾼이었던 머슴들을 위로하기 위해 시작된 풍속으로 보이지만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농사일에 머슴을 고용하는 일이 사라지면서 이 풍속도 점차 사라졌으며, 도시화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도 현재는 찾아보기 힘든 풍속 입니다.
Q. 삼십육계는 서른여섯 가지 계책을 뜻하는 말인데 왜 도망간다는 뜻으로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십육계》(三十六計, Thirty-Six Stratagems)는 중국의 병법서 입니다. 병법에 있어서의 전술 36개를 여섯 항목으로 나누어 모은 것인데 36계는 승전계, 적전계, 공전계, 혼전계, 병전계, 패전계의 총 6개의 큰 줄기에서 각각 6개의 계책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36개의 계책 그 중에서 달아나는 것이 최고라는 뜻이라고 하는 것은 옛날 중국 남북조 시대 살았던 ‘왕경측’이라는 사람이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