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제의 산미증식계획이 우리나라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1차 계획’은 1920~1925년에 실시된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畵), ‘제2차 계획’은 1926~1934년에 실시된 ‘산미증식갱신계획(産米增殖更新計畵)’, ‘제3차 계획’은 1940~1945년에 실시된 ‘조선증미계획(朝鮮增米計畵)’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이것을 총괄하여 일반적으로 ‘산미증식계획’이라고 부루는데 산미증식계획의 결과 식민지 조선의 농업생산 체제는 벼농사 위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으로 쌀의 반출이 늘어나면서 한국인의 쌀 소비량은 오히려 감소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많은 한국인의 생활은 어려워졌고 또한 대지주들은 쌀 생산을 통한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토지소유를 확장하는데 주력하였다고 합니다. 산미증식계획은 식민지 지주제가 강화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과 쿠바가 수교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쿠바가 우리 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은 이유는 연료 부족으로 버스가 멈추고, 국민 대다수가 ‘죽지 않을정도만’ 굶주리는 상황은 사회주의라는 이념 대신 경제적 실리를 택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여기에 한류 문화가 스며들면서 쿠바 국민들이 우리나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진 것도 한 몫 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만파식적이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파식적은 통일신라기 왕실에서 정치적 불안이나 국난이 진정되고 태평성대가 오기를 염원하는 제례(祭禮)에 사용했던 피리로, 오늘날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현재 경주 박물관에 보관 되어 있는 옥피리와 관련된 기록이 새겨진 나무 보관함과 함께 전하고 있는데 조선시대 경주 사람들은 이 옥피리를 신라 때 나라를 평안하게 해준다는 보물인 만파식적과 동일시하였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데릴사위제의 흔적이 남아 있는 풍습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데릴사위제는 혼인 풍습 가운데 하나로서, 남자가 여자의 집에서 사는 제도 입니다. 이때 딸만 있는 집안에서 혼인한 딸을 시집으로 보내지 않고, 처가에서 데리고 사는 사위를 데릴사위라고 합니다. 이러한 데릴 사위제를 의미하는 것은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장가(丈家)간다'는 말은 '장인(丈人)의 집으로 간다'는 뜻으로, 고구려 데릴사위제의 흔적이 남아 있는 말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말이 바로 데릴 사위제의 흔적이 남아 있는 말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럽에 감자가 도입될 당시 초기에 한센병의 원인으로 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감자가 처음 도입될 당시 처음에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져 먹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후 감자가 인류에게 중요한 식량원이 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자는 처음에는 의심과 두려움을 받았던 이유가 있습니다. 독성에 관해서는 감자는 녹색 부위에 솔라닌이라는 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감자를 먹을 때 주의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적절한 조리법을 통해 독성을 제거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7467477487497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