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1월 18일 작성 됨
Q.
우리가 자주 쓰는 말인데 헷갈립니다. 내로라하는/내노라하는 무엇이 맞는 말이며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내로라 가 맞습니다. ‘내로라’는 기원적으로 대명사 ‘나’에 서술격조사 ‘이-’, 주어가 화자와 일치할 때 쓰이는 선어말어미 ‘-오-’가 결합된 형태로서 마치 “나다”라고 말하며 자신을 높은 양 내세우는 모습을 표현한 말이라고 합니다. 현대어에서는 " 나다, 나야 " 정도의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이미륵'이라는 분의 작품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는 1946년 독일 에서 발표된 한국 작가 이미륵에 의해서 쓰인 글이며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기 전 평화로웠던 어린 시절부터, 신식 교육을 받고 민족 의식에 눈을 뜨며 독일에 도착하게 되기 까지를 담은 이미륵 작가 자전적 소설 이자 동시에 소년의 성장과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을 주제로 한 성장 소설인 동시에 이민 문학의 한 형태 라고 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집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중화요리집의 상호명에 많이 붙는 OO반점, OO루, OO각 등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중국에서는 음식점과 숙박업소를 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가게의 건물들은 대개 2층 혹은 3층에 지은 누각(閣)이었기 때문에 ‘OO루·OO각’이라는 이름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것들이 우리 나라에서 자연스럽게 사용 되게 된 것이고 반점 이라는 단어는 사실 중국에서는 식당이라기 보다는 호텔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반점으로 검색해서 오는 중국인들은 많은 착각을 한다고 합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사형 방식 중의 하나인 사약이 死藥이 아니라 賜藥으로 쓰던데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사약의 사 (賜)는 은사를 내린다는 뜻을 가지는데 조선 시대는 유교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신체를 훼손하는 것을 부모에 대한 큰 불효로 알았기 때문에 신체를 찢는 참수형이나 목을 매다는 교수형과 달리 사대부에게는 신체를 보전할 수 있도록 사약을 내렸다고 합니다.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거거익선이라는 단어가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다다익선" 이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는 의미처럼 “거거익선”은 클수록 더 좋다는 의미 입니다. 클 거(巨), 클 거(巨), 더할 익(益), 착할 선(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재에는 전자 기기 들이 생활화 되다 보니 스마트 폰이나, 노트북 등 화면이 크면 클수록 좋다는 말 등에 쓰이게 된 것 같습니다.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